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교육이념으로 명시된 ‘홍익인간(弘益人間)’을 삭제하자며 발의한 교육기본법 개정안을 둘러싼 논란이 거센 가운데 허지웅의 SNS 소신 발언이 주목받고 있다.
민형배 의원이 지난달 24일 대표발의한 개정안에는 교육이념으로 명시된 ‘홍익인간’을 ‘민주시민’으로 변경하는 내용이 담겼다. 민 의원은 “어렵고 복잡해 누구나 알기 쉽도록 바꿔야 한다고 봤다”며 “민주공화국이라는 헌법 정신에 충실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는 뜻의 ‘홍익인간’은 삼국유사 중 단군 신화에 등장하는 용어로, 교육 이념의 주요 가치로 여겨져 왔다. 여당 의원들이 이를 삭제하자며 법을 낸 셈인데, 그 과정에서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들이나 교육부와 공식적으로 협의한 바 없는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었다.
이런 가운데 허지웅은 22일 인스타그램에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하라’는 홍익인간의 말이 참 좋다”며 말문을 열었다. 그는 “이웃을, 인류를 널리 이롭게 하겠다는 이상을 실천하기 위해 국가공동체를 세우고 시민교육의 이념으로 삼겠다는 마음이 아름답다”고 했다.
이어 허지웅은 개정안을 언급하며 “최근 교육법 2조 교육이념의 홍익인간이나 인류공영과 같은 말이 지나치게 추상적이라는 것이 이유”라고 설명했다. 그는 “저는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하라는 말이 추상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그것이 추상적이라 할지라도 큰 틀의 방향을 제시하는 교육 이념이 구체적이어야 하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소신 발언을 내놨다.
또한, “교육법의 홍익인간과 인류공영이라는 말이 추상적이기 때문에 삭제해야 한다면 우리 헌법 전문의 ‘항구적인 세계평화와 인류공영에 이바지한다’라는 말 또한 고쳐야 한다”고 지적했다.
끝으로 허지웅은 설령 홍익인간이라는 말 때문에 학생들이 방황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최소한 공론화를 통해 시민의 동의를 얻은 이후 고쳐도 늦지 않다”며 “왜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이런 일이 벌어진 걸까”라고 말했다. 그는 “그 이유야말로 홍익인간과 인류공영이라는 말보다 추상적이지 않을까 생각해봤다”고 꼬집었다.
한편 누리꾼들은 허지웅의 글에 공감을 표하며 홍익인간을 둘러싼 개정안 논란에 분노를 쏟아내고 있다. 청와대 국민청원 홈페이지에는 “교육기본법 교육이념에서 홍익인간을 삭제하는 만행을 막아달라”는 청원이 지난 21일 올라왔다.
해당 청원은 하루 만에 2만명이 넘는 시민들이 청원에 참여했다. 현재 22일 오후 2시 기준 28,278명이 청원에 동의했다.
국민의 반발이 커지자 민 의원은 22일 페이스북에 “교육기본법 개정안 발의를 철회합니다”라는 글을 게재하고 최근 논란에 대해 사과했다. 그는 “개혁과 민생 등 현안이 많은데 굳이 논란을 더해서는 안 되겠다고 판단했다”며 ‘철회요구서’ 제출 사실을 밝혔다.
이주연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