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은 21일 코로나19 백신 수급 차질 논란과 관련해 청와대와 정부를 향해 맹공을 퍼부었다. 전날 정의용 외교부 장관의 ‘한·미 백신 스와프 협의’ 발언에는 과거 야당의 제안을 무시한 ‘늑장 대응’이라고 비판했고, 백신 확보 과정 전반에 대한 국정조사 요구도 나왔다.
지난해 말 ‘한·미 백신 스와프’를 주장했던 신상진 국민의힘 코로나19 대책 특위 위원장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급한 불을 끄려면 정상외교를 통해서든 외교부 장관이 나서든 채널을 총동원했어야 했다”며 “청와대와 여당이 야당 얘기는 듣지도 않고, 코로나19 대응을 성역화했다”고 비판했다.
신 위원장은 이어 “긴급하게 미국에 ‘SOS’ 신호를 보내야 하는데 다음 달 한·미 정상회담까지 기다리겠다는 건가”라며 “문재인 대통령이 백신의 절박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당시 국민의힘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관련 규정을 근거로 백신 스와프를 공식 제안하고 협조를 약속했지만, 정부는 부정적인 입장이었다.
주호영 당대표 권한대행은 기자들과 만나 “우리가 지난해부터 백신 스와프 가능성을 열어두고 요구했다”면서 “야당이 애타게 요구했는데도 무시하다가 이제 와서 뒤늦게 얘기하는 걸 보니 통탄스럽다”고 지적했다. 주 권한대행은 비상대책위 회의에서도 “문재인 대통령과 정부가 오락가락하는 발언으로 국민의 불신을 자초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김미애 비상대책위원은 비대위 회의에서 코로나19 백신 확보와 접종 관련 국정조사를 요구했다. 김 비대위원은 “문 대통령이 왜 지난해 9월이 돼서야 해외 백신 확보를 지시했는지, 누구로부터 어떤 보고를 받고 치료제와 국내 백신 개발에 매몰됐는지 밝혀야 한다”고 요구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