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코로나19 백신 확보를 위한 ‘한·미 백신 스와프’에 대해 “(미국이) 집단면역을 이루기 위한 국내 백신 비축분이 여유가 없다는 입장을 저희한테 설명하고 있다”면서도 한·미동맹 관계를 고려해 도와줄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21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토론회에서 “미국과 진지한 협의는 하고 있다. 다만 미국도 국내 사정이 아직도 매우 어렵다는 입장을 저희한테 설명하고 있다”며 “결과를 예단하기 어렵지만 미국은 올해 여름까지 집단면역을 이뤄야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 장관은 이어 “작년 코로나19 초기 단계에 우리 정부는 미 정부 요청에 따라 당시 초기에 성공적으로 개발했던 진단키트, 미국이 굉장히 부족 상태를 겪었던 마스크를 국내 수급이 넉넉지 않은 상황에서도 한·미동맹 관계라는 양국 간 특별한 관계를 감안해 미국에 직접 공수해준 적이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러한 사정을 미국 측에 설명하고 ‘어려울 때 친구가 진정한 친구’라는 것을 미측에 강조하고 있다”며 “미국이 작년에 우리가 보여줬던 연대 정신에 입각해 현재 우리가 겪고 있는 백신에서의 어려움을 도와줄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했다.
정 장관은 ‘쿼드(Quad)나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이라도 지어줘야 백신을 받을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팬데믹 상황에서 양국 간 협력이 외교 분야에서의 논의와는 별개”라며 “양국 간에 논의되는 한·미동맹 강화나 북한 비핵화 문제, 미·중 갈등에서 우리의 입장이라든지 이런 것들과 백신 분야에서 협력은 연관이 없다고 본다”고 했다.
이어 “스와프라는 개념보다는 서로 어려울 때 도와줄 방안, 그런 차원에서 미국 측과 협의하고 있는 점을 다시 말한다”며 “미국과 협력할 분야는 백신뿐만 아니라 여러 분야가 있다. 예를 들어 조 바이든 대통령이 관심을 갖고 있는 글로벌 공급망에서 우리가 미국을 도와줄 수 있는 게 많이 있어 여러 가지 협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정 장관은 ‘글로벌 공급망 등 경제적 이슈도 교환 대상에서 배제되느냐’는 질문에 “교환의 대상이라고 보지 않는다”며 “반도체 분야나 미국이 관심을 갖고 있고 우리 기업이 능력 있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라든지 여러 협력 분야가 있을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협력은 민간기업이 주도하는 것이므로 정부가 나서서 미국 측과 협의의 대상으로 할 수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다만 그는 “민간기업들의 이런 분야에서 협력 확대가 미국 조야로부터 한국이 백신 때문에 어려움에 처했을 때 어떤 도움을 줘야겠다는 여론 형성에는 상당한 도움이 되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