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가 코로나19 상황을 반영해 ‘여행 금지’ 대상을 대폭 확대한 가운데 한국은 ‘강화된 주의’ 단계를 유지했다.
미국 국무부는 현지시간으로 20일 대유행 확산 위험성에 비춰 미국민에게 모든 해외여행을 재고할 것을 강력히 권고한다면서 여행금지 국가를 전 세계의 80%로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었다. 국무부 홈페이지에 따르면 여행금지 국가가 대폭 늘었지만, 한국은 기존대로 ‘강화된 주의’인 여행경보 2단계를 그대로 유지했다.
미국민에 대한 국무부의 여행경보는 총 4단계로 나뉜다. 일반적 사전주의(1단계), 강화된 주의(2단계), 여행재고(3단계), 여행금지(4단계) 순이다. 여행금지 대상의 경우 기존에는 전 세계 국가 중 34개국이 해당했지만, 이날 여행경보 갱신을 통해 오후 현재 95개국까지 늘어났다. 업데이트 작업이 계속 진행돼 여행금지국 수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앞서 국무부는 성명을 통해 이번 갱신과 관련, 대유행으로 지속적인 위험에 직면함에 따라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과학에 근거한 여행보건 공지를 더 잘 반영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무부는 해당 국가의 현재 보건 상황 재평가를 뜻하는 게 아니라면서 해당 국가의 코로나19 검사 가능 여부와 미국민에 대한 여행 제한 등을 포함한 요인을 고려한다고 덧붙였다.
기존 금지국에는 북한, 러시아, 이란, 미얀마, 아프가니스탄 등이 있었다. 갱신한 결과 프랑스, 독일 등 유럽 주요국을 비롯해 대륙별로 다수 국가가 포함돼 있다. 코로나19 확산이 심각한 브라질도 4단계에 포함됐다. 최근 걷잡을 수 없는 수준으로 치닫는다는 우려가 나온 인도의 경우 이날 오후까지는 2단계에서 변화가 없었다.
미국이 여행금지국 수를 80% 수준까지 늘릴 경우 160개국 안팎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국무부는 중국과 일본의 경우 여행 재고를 권고하는 3단계로 두고 있으며 이날 오후까지 갱신되지 않았다.
미국의 조치는 백신 접종과 바이러스 확산 상황, 외국이 미국에 취한 입국제한에 대응한 상호주의 조치, 봄철을 맞아 본격적으로 여행이 증가하는 추세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선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크게 늘어났지만 환자 증가세는 여전한 상태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