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백신스와프 협의중”…아스트라제네카 소량 가능성 높다

입력 2021-04-20 16:40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20일 코로나19 백신 확보를 위한 방안 중 하나로 ‘한·미 백신 스와프’ 방안을 “미국 측과 상당히 진지하게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또 미국 등지에 ‘백신 특사’를 파견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등 국내 백신 도입을 위해 가능한 모든 방안을 총동원하고 있다.

정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긴급현안질의에서 “지난주 존 케리 미 대통령 기후 특사가 (한국에) 왔을 때도 이 문제에 관해 집중적으로 협의를 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한·미정상회담 개최 이전까지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했다.

백신 스와프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 외화유동성 긴급 확보를 위해 맺었던 ‘한·미 통화 스와프’를 본뜬 개념이다. 미국이 우리나라에 백신을 긴급 지원해주고, 우리나라는 추후 조달한 백신으로 갚는 방식이다.

정부는 미국이 계약한 백신 물량 중 한국보다 먼저 인도받는 물량을 한국으로 돌리고, 한국이 나중에 인도받는 물량으로 갚는 방안 등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당초 백신 스와프가 실현 가능성이 작다고 평가했으나 최근 국내 백신 도입이 지연되고 미국 백신 상황에 여유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면서 분위기가 달라졌다.

미국은 최근 인접국인 멕시코와 캐나다에 각각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250만회분과 150만회분을 빌려주고 다시 백신으로 돌려받을 계획을 소개한 적이 있다. 한·미 간 스와프가 이뤄진다면 아스트라제네카를 들여올 가능성이 커 보인다. 미국은 현재 아스트라제네카는 사용 승인 없이 비축만 하고 있다.

다만 백신 제조업체들이 특정 국가가 계약한 백신을 다른 나라에 주는 것을 제한하고 있어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하고, 여러 나라가 미국에 손을 벌리는 만큼 미국이 한국에 지원한다 해도 물량이 제한적일 가능성이 크다.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외교부는 관계부처들과 긴밀한 협의 하에 미국과 백신 협력을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면서 “다만 현 단계에서 (백신 스와프의) 구체적인 내용을 소개할 수 없다”고 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