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권역별 통합의료벨트’ 본격 시행…의료 공공성↑

입력 2021-04-20 16:10
경남도는 의료기관들과 ‘권역별 통합 의료벨트’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좌측부터 김건일 양산부산대병원장, 김경수 지사, 윤철호 경상대병원장, 이영준 경상대병원장. 경남도 제공

경남도가 지역 어디서나 필수 의료 서비스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통합 의료벨트 구축을 추진한다.

경남도는 20일 진주경상대학교병원과 창원경상대학교병원, 양산부산대학교병원 등과 ‘권역별 통합 의료벨트’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김경수 도지사와 윤철호 진주경상대병원장, 이영준 창원경상대병원장, 김건일 양산부산대학교병원장 등이 참석했다.

권역별 통합 의료벨트는 도내 지역 간 건강 격차를 해소하고 필수 의료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함으로써 의료의 공공성을 강화하는 체계다. 이를 위해 경남을 동부와 중부, 서부의 3개 권역으로 나누고 권역 책임의료기관인 각 국립대병원을 중심으로 권역 내에서 완결적인 필수 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권역별 책임 의료기관은 ‘응급·외상·심뇌혈관 등 중증 의료’ ‘산모·신생아·어린이 의료’ ‘재활 의료’ ‘지역사회 건강관리’ ‘감염 및 환자안전’ 등 지역 내 필수 의료를 연계·조정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를 위해 권역 책임의료기관들은 지역 우수병원, 정부지정 지역센터, 보건소, 소방서 등으로 구성된 필수의료협의체를 운영하며, 권역별 공공보건의료계획을 수립하고 수행하게 된다.

김 지사는 인사말을 통해 “소외지역으로 갈수록 공공의료조차 취약해지고 보건의료 인력 확충은 어려워지는 등 근본적인 대책이 시급한 만큼 현장에서 답을 찾아가는 프로세스가 합리적”이라며 문제를 지적하고 “도내 어디서나 필수 의료서비스 혜택을 기대할 수 있는 공공의료벨트 구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경상남도 공공보건의료위원회가 20일 첫 회의를 개최했다. 경남도 제공

이날 업무 협약식 후에는 권역 책임의료기관장과 지역 책임의료기관장, 필수 의료 관련 정부지정센터장, 소방본부장, 보건소장 등으로 구성된 ‘경상남도 공공보건의료위원회’가 첫 회의를 개최했다.

공공보건의료위원회는 권역 및 지역 내 필수보건의료 문제 개선을 위한 협력과제의 우선순위와 정책목표, 사업 방향 등 도내 공공보건의료 현안을 결정하면서 사실상 가장 높은 수준의 의사결정기구가 될 전망이다. 아울러 권역별 통합 의료벨트 추진단의 역할도 함께 맡는다

이날 회의에서는 3개 권역책임의료기관의 올해 사업계획 발표, 도내 필수 의료 문제 개선을 위한 정책 우선순위와 정책목표 및 사업 방향 등에 관한 논의가 이뤄졌다.

경남도 관계자는 “권역별 통합 의료벨트가 본격 운영되면 무엇보다 도민들이 멀리 떨어진 타지역 의료기관을 이용함에 따르는 불편과 여러 비용을 덜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의료서비스의 개선을 도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