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룡 경찰청장이 19일 ‘용산 참사’에 책임이 있는 신두호 전 인천경찰청장을 인천시 자치경찰위원으로 추천한 것에 대해 사과했다.
김 청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국가경찰위원회 요청을 받아 경찰청이 기존 인력풀을 활용해 추천했는데, 여기에 신 전 청장이 포함돼 있었다”면서 “국민들의 인식과 마음을 조금 더 세밀하게 살펴서 신중하게 검토하고 추천자를 결정했어야 했다. 송구스럽게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국가경찰위원회가 신 전 청장을 인천시 자치경찰위원으로 추천하면서 비판이 일었다. 신 전 청장은 2009년 용산 참사 당시 현장 진압 작전을 총괄한 인물이다. 용산 참사 유가족들과 시민단체들의 반발이 이어지면서 박남춘 인천시장은 신 전 청장의 임명을 거부했다. 경찰청장 자문기구인 경찰청 인권위원회도 성명을 통해 “경찰개혁의 정당성을 훼손하고, 인권 경찰로 나아가고자 하는 노력을 수포로 돌아가게 하는 것”이라며 위원 추천 철회를 촉구했다. 경찰 안팎의 비판이 커지자 신 전 청장은 결국 자진 사퇴했다.
한편 부동산 투기 의혹으로 정부 합동특별수사본부(특수본)의 수사 대상에 오른 전·현직 고위공직자는 모두 4명으로 늘었다. 특별수사단장인 최승렬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수사국장은 “수사 대상자 가운데 고위공직자는 기존 2명에서 4명으로 늘었다”면서 “통상 3급 이상의 공직자를 고위공직자로 본다”고 말했다. 기존 수사 대상 중 고위공직자는 차관급인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출신 인사 등 2명 뿐이었다.
이날 오전 기준 특수본의 부동산 투기 관련 내·수사 대상은 198건 868명에 달한다. 몰수·추징 보전 신청이 받아들여진 부동산 규모는 약 240억원이다. 경찰은 추가로 70억원 상당의 부동산에 대해서도 몰수·추징 보전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수본은 이와 별도로 불법 부동산 사범 698명(196건)에 대한 본격적인 수사에도 착수했다. 기획부동산 업체 운영이나 분양권 불법전매 등 각종 불법행위들이 수사 대상에 포함됐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