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도 “韓·日·호주 백신 느림보…초기 성과 역전될 듯”

입력 2021-04-19 09:45
15일 오전 서울 강남구 일원에코센터에 마련된 강남구 백신접종센터에서 의료진이 화이자 백신 접종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한국을 비롯해 코로나19 초기 대응을 잘한 국가들이 백신 쟁탈전에서 뒤쳐지며 상황이 역전되고 있다는 외신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17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한국과 호주의 백신 접종률이 각각 3%를 밑돌고 있으며 일본과 뉴질랜드는 1%도 채 안된다면서 이들 국가가 초기 확진자와 사망자 폭증으로 재앙을 겪은 유럽, 미국 등과 상황이 역전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NYT는 그러면서 이들 국가가 코로나19 대유행 초기인 지난해 초 상대적으로 낮은 감염률과 사망률 덕분에 확보한 시간을 낭비했다면서 “느림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다른 곳에서 개발된 백신에 의존 중”이라고 꼬집었다.

NYT는 특히 현재 백신 접종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은 앞서 이들 국가가 공공보건을 통해 거둔 상대적 성공을 되돌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백신 공급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경제 회복도 늦춰질 수 있다는 것이다. 호주 시드니대의 전염병 전문가인 로버트 부이는 “질병 통제에 성공한 게 재빠른 접종소 확보에 필요한 노력과 동기를 떨어뜨렸다”면서 “사람들이 사방에서 숨져나갈 때는 이런 필요성이 명백해진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한국은 17일 기준 1차 접종자가 151만 2503명으로 인구(5200만명) 대비 접종률은 2.91%에 그치며 ‘늦장 백신’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앞서 CNN도 16일(현지시간) 비슷한 진단을 내놓은 바 있다. CNN은 한국을 포함해 뉴질랜드, 태국, 대만, 일본이 미국이나 유럽 등 코로나19 확산이 심각했던 국가들만큼 백신 확보에 긴박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백신 쟁탈전에서 뒤쳐졌다고 진단했다. 반면 미국과 영국은 ‘대담한 도박(bold gamble)’에 성공, 전 세계가 백신 공급 문제에 직면한 현재 가장 먼저 코로나19 백신을 공급받고 있다고 진단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