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신임 원내대표 선출로 공석이 된 국회 법제사법위원장 자리의 향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입법드라이브를 걸어야 하는 상황이지만, 4·7 보궐선거 참패로 확인된 민심 이반에 민주당 원내지도부의 고심이 깊어지는 모양새다.
18일 여권에 따르면 민주당과 야당은 이번 주 법사위원장 재선출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앞서 윤 원내대표는 지난 16일 원내대표 선출 후 국민의힘의 원구성 재협상 요구에 대해 “2년차 원내대표는 원구성 협상 권한이 없다. 이미 작년에 원구성 협상이 마무리됐고, 본회의에서 상임위원장 선출이 모두 이뤄졌다”며 “더이상 그 문제로 여야 관계가 파행할 이유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사실상 법사위원장직을 내놓으라는 야당의 주장을 일축한 것으로 풀이된다.
윤 원내대표는 정견발표 때도 “속도조절, 다음에 하자는 말은 핑계일 뿐이다. 지금 개혁하지 않으면 언제 하겠느냐”며 “개혁의 바퀴를 여기에서 멈춰서는 안 된다”고 말한 바 있다. 이에 후임 법사위원장도 정부·여당의 입법 드라이브 기조를 이어갈 수 있는 인사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선수와 나이 등을 고려해 상임위원장을 정하는 관례를 고려했을 때 3선인 정청래 의원이 유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또 정 의원이 대야 투쟁에서 선명성을 보여온 점도 법사위원장에 유력한 이유로 꼽힌다.
다만 4·7 보궐선거 참패 직후, 여야 협치 차원에서 ‘강성 친문’인 정 의원보다 온건파를 내세워야 한다는 목소리도 민주당 내에서 나오고 있다. 정 의원이 법사위원장직을 맡는 것 자체가 입법 독주를 계속하겠다는 신호로 중도층에게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당내에서는 대안으로 3선인 박광온 의원 등이 거론되고 있고, 원내지도부도 폭넓은 후보군을 놓고 고민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