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달 전 알래스카 설전 미·중, ‘기후 대응’엔 한목소리

입력 2021-04-18 17:36 수정 2021-04-18 19:23

존 케리 미국 대통령 기후특사가 중국을 방문한 직후 미·중이 기후변화 대응에 협력한다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한달 전 알래스카 고위급 회담에서 공개 설전을 벌였던 양국이 원론적 내용이나마 함께 성명을 냈다는 것 자체가 의미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 국무부와 중국 생태환경부가 18일 공동 발표한 성명에서 양국은 기후 문제 해결을 위해 다른 나라와 함께 협력하고, 지구 평균 기온 상승을 제한한 파리기후변화협정 이행을 위해 노력한다고 밝혔다. 또 오는 11월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전후로 탄소 배출 감축을 논의한다고 덧붙였다. 총 6개항으로 구성된 성명은 기후 위기 대응에 관한 원론적 입장과 약속을 서로 확인하는 수준에 그쳤다.

AFP통신은 “양국이 다른 방면에서의 긴장 고조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위기에서는 협력할 수 있다는 신호”라고 평가했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양국은 파리기후협정 이행을 강조했으며 앞으로 열릴 국제 회담에서의 협력 가능성을 언급했다”고 전했다.

중국은 시진핑 국가주석이 오는 22~23일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화상으로 개최하는 기후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문제에 대해선 명확한 언급을 하지 않았다. 성명에는 “양국 모두 미국이 주최하는 기후 정상회의 개최를 기대하고 있다”는 내용만 들어갔다.

존 케리 미국 대통령 기후특사가 18일 서울 시내 한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중국에 이어 한국을 방문한 케리 특사는 이날 서울 시내 한 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우리는 시 주석이 정상회의에 참석하기를 바란다”면서도 “참석 여부는 중국 스스로 결정해 발표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케리 특사는 지난 14일 저녁 상하이에 도착해 15~16일 카운터파트인 셰전화 중국 기후변화 특사와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케리 특사는 상하이에 있는 동안 중국 최고위급 지도자인 한정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 겸 국무원 부총리와 화상 면담도 했다. 이어 17일 한국을 방문해 정의용 외교부 장관과 면담하고 다음 날 출국했다.

파리기후협정은 2015년 12월 파리에서 열린 제21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195개국이 채택했다. 지구 평균 온도가 산업화 이전 수준 대비 2℃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온실가스 배출량을 단계적으로 감축하는 내용이다. 협정은 각국이 자발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정하도록 했다. 미국은 2030년까지 26~28% 절대량 감축을, 중국은 같은 기간 국내총생산(CDP) 대비 배출량 기준 60~65% 감축을 약속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첫날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탈퇴한 파리기후협정 복귀 행정명령에 서명했을 만큼 기후 위기 대응을 정책 우선순위에 두고 있다. 미 정부는 오는 22일 지구의 날 즈음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버락 오바마 전 행정부 때 목표치보다 50% 이상 더 줄이는 새로운 목표를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