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행정통합(이하 행정통합) 제2차 여론조사 결과 통합 추진을 2022년 지방선거 이후 미루자는 의견이 더 높게 나왔다. 추진 동력이 약해진 데 따른 결과로 풀이 된다.
대구경북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이하 공론화위)는 행정통합 추진 시점을 묻는 질문에 63.7%가 ‘2022년 지방선거 이후 중장기 과제로 진행돼야 한다’고 응답했으며 ‘2022년 7월에 행정통합(통합자치단체장 선출)을 이뤄야 한다’는 대답은 18.3%에 그쳤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대구·경북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2차 여론조사를 진행했다.
행정통합 찬성은 45.9%, 반대는 37.7%, 모름·무응답은 16.4%로 나타났다. 대구시민은 오차범위 내에서 찬성이 반대의견보다 1.8% 높았으며 경북도민은 찬성의견이 반대보다 14.6% 높아 경북도민이 대구시민보다 행정통합에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구 동부권(수성구, 북구, 동구)과 경북 동부권(포항시, 경주시, 영천시, 경산시, 영덕군, 울릉군, 청도군, 청송군)에서 찬성의견이 높았고 대구 서부권(달서구, 달성군)과 경북 북부권(문경시, 봉화군, 상주시, 안동시, 영양군, 영주시, 울진군)에서 반대의견이 높았다. 연령별로는 30대(찬성 38.5%)에서 찬성의견이 가장 낮았고 나머지 전 연령층에서 찬성 의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자치단체의 명칭 및 행정체계는 ‘대구경북특별광역시(안)’이 56.1%, ‘대구경북특별자치도(안)’ 이 31.3%로 나타나 대구경북특별광역시 명칭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장기 과제 선호가 더 높게 나타난 것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대면 토론회 개최 어려움 등 행정통합에 대한 시·도민 관심도를 높이지 못한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또 대구 일부와 경북 북부의 극심한 반대 등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 된다. 그동안 공론화위도 행정통합 공론화에 어려움이 많고 한계도 있다고 밝혀왔다. 여론조사 결과에 따라 행정통합 추진 시기가 늦춰질 가능성이 한층 더 높아졌다.
공론화위는 오는 23일 전체위원 워크숍을 열어 대구·경북 행정통합 기본계획, 특별법, 종합검토 의견을 논의·의결한 뒤 오는 29일 시‧도지사 보고회를 통해 최종 의견을 제출한다. 시·도지사는 제출된 의견을 바탕으로 행정통합 추진 시기 등을 결정하게 된다.
이번 조사는 지난 3월 31일부터 4월 11일까지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대구 500명, 경북 5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해 면접원에 의한 직접대면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2021년 3월 기준 주민등록인구 현황에 따라 성별, 연령별, 지역별(읍·면·동 단위)로 인구 구성비에 맞게 무작위 추출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4P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