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한·일관계 개선 압박하나… “직접 관여할 것”

입력 2021-04-16 14:07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한·일 관계 상황이 매우 우려스럽다며 이 문제에 직접 개입하고 싶다는 뜻을 피력했다. 미국 동맹국들이 대(對)중국 공동전선을 펴야 할 상황에서 한·일 양국이 갈등을 빚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는 취지다. 한·일 관계에 거의 관심을 갖지 않았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달리, 바이든 행정부는 양국에 관계 개선을 직접 압박할지 주목된다.

미 행정부 고위 당국자는 15일(현지시간) 전화 브리핑에서 “일본과 한국의 관계가 현재 수준까지 떨어진 데 우려스럽고 심지어 고통스럽기까지 하다”고 말했다. 그는 “(한·일의) 정치적 긴장은 동북아시아에서 우리 능력을 발휘하는 데 방해가 된다”며 “바이든 대통령은 이 문제를 두고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와 대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일 정상회담을 위해 워싱턴을 방문 중인 스가 총리는 16일 백악관에서 바이든 대통령과 대면할 예정이다. 두 정상은 회담 후 발표할 공동성명에서 대만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는 등 중국 견제 문제를 정면으로 다룰 것으로 알려졌다. 한반도 현안과 관련해서는 북핵과 일본인 납북자 문제와 함께 한·일 갈등이 회담 의제에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 당국자는 “우리는 (한·일 갈등이) 두 나라 사이의 문제라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미국은 두 나라 모두의 친구로서 위대한 두 민주주의 국가의 관계가 진전되는 데 이해관계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앞에는 많은 현안이 놓여 있으며 향후 이 문제에 직접적으로 관여할 방법을 찾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미 당국자의 발언은 강제징용 문제에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출까지 겹치면서 최악으로 치달은 한·일 관계에 미국이 직접 개입하는 방안을 모색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바이든 행정부는 출범 직후부터 중국 견제를 위한 한·미·일 공조의 중요성을 여러 차례 강조해왔다. 스가 총리에 이어 성사되는 문재인 대통령의 방미에서도 한·일 관계가 거론될 가능성이 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