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세 번째 국무총리 후보로 ‘통합형’ 김부겸 택했다

입력 2021-04-16 13:33 수정 2021-04-16 15:05
신임 국무총리에 지명된 김부겸 전 행정안전부 장관.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새 국무총리 후보로 김부겸 전 행정안전부 장관을 지명했다.

유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은 16일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하고 이같이 밝혔다.

청와대는 김 전 장관에 대해 “정치와 사회 현장에서 공정과 상징의 리더십을 실천한 4선 통합형 정치인”이라며 “국정 운영 전반에 대한 충분한 경륜과 식견, 정무 감각과 소통 능력, 대화와 통합 등 합리적인 성품을 가진 분으로 코로나 극복과 부동산 부패 청산, 경제 회복과 민생안정에 대한 절실한 요구를 해결할 수 있는 적임자”라고 소개했다.

김 전 장관은 문재인정부의 초대 행정안전부 장관을 지냈다. 당내 친문 계파색은 옅지만 문 대통령의 신임은 두터운 정치인으로 꼽힌다. 정치이력만 놓고 보면 여권의 주류라기 보다는 비주류에 가까운 인사라 할 수 있다.

김 전 장관은 1977년 대학 시절 유신 반대 시위에 참여하며 재야 민주화운동의 길에 들어섰다. 제도권 정치에 발을 내딛은 것은 1991년 꼬마민주당에 입당하면서다. 하지만 1997년 대선을 앞두고 한나라당에 입당했고, 경기도 군포에서 처음 의원 뱃지를 달았다. 한나라당에서도 내내 개혁적인 목소리를 내던 그는 2003년 탈당해 열린우리당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후 열린우리당과 통합민주당 소속으로 연거푸 당선됐다.

김 전 장관은 2012년 지역주의를 깨기 위해 고향 대구로 내려가 출마해 신선한 바람을 일으켰다. 2012년 총선에선 낙선했지만, 2016년 대구 수성갑에서 처음 당선되며 TK에 민주당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평을 들었다. 21대 총선에서는 주호영 국민의힘 의원에게 패했다. 지난해 8월 민주당 당 대표 선거 당시 대선 포기라는 배수진을 치고 이낙연 후보에게 도전장을 내밀었다. 전당대회에서의 패배로 정치적 타격이 적잖았지만, 결국 문재인정부의 마지막 총리로 돌아오게 됐다.

김 전 장관은 특유의 친화력을 앞세워 남은 임기 동안 국정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야당 의원들과의 관계도 원만한 것으로 알려진 만큼, 지역 화합뿐 아니라 보수와 진보를 아우르는 통합 행보를 기대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1년 3개월여만에 물러나는 정 총리는 대선 레이스에 본격적으로 뛰어들 전망이다. 문 대통령은 자리에서 물러나는 정 전 총리에 대해 “문재인정부 2대 국무총리를 맡아 국정 전반을 잘 통괄하며 내각을 잘 이끌어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며 “내각을 떠나는 것은 매우 아쉽지만, 자신의 길을 갈 수 있도록 놓아주는 것이 도리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어디에서든 나라와 국민을 위하여 봉사해주리라 믿는다. 성공적 마무리를 위해 적임자 제청해준 데 대하여 감사드린다”고 말했다고 유 실장이 전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