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남춘 인천시장은 14일 환경부의 수도권 쓰레기 대체매립지 공모가 무산된 것과 관련해 “이미 예견된 일”이라며 환경부와 수도권 3개 시·도가 참여하는 4자 협의체 재가동을 제안했다.
박 시장은 이날 오후 늦게 페이스북을 통해 “기존 수도권 매립지와 별반 다를 것 없는 대규모 지상매립에 소각시설 등 부대시설까지 집적시키는, 친환경적이지 않은 방식을 수용할 지역은 어디에도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다시 원점에서 논의할 책임 있는 단위의 4자 협의체를 재가동해야 한다”며 “협의체 논의는 발생지 처리원칙 준수와 친환경적인 처리방식 실현에 관한 것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어떻게 하면 환경부가 건설·사업장 폐기물을 별도 처리하고 인천시·경기도·서울시가 환경정의를 지켜나갈 수 있을지 지혜를 모으는 것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환경부와 서울시, 경기도,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올해 1월 14일부터 이날까지 90일간 수도권 대체매립지 입지 후보지를 공모했지만, 응모한 지방자치단체가 없어 무산됐다.
환경부와 수도권 3개 시·도는 15일 오후 개최 예정인 대체매립지 확보추진단 회의에서 재공모 실시 여부와 대체매립지 확보 대안 등 후속 대책을 논의할 계획이다.
인천시는 인천 서구에 있는 수도권매립지를 2025년까지만 사용하고 이후에는 영흥도 자체 매립지에서 인천 쓰레기만 처리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서울시와 경기도는 2025년 이후에도 현 수도권매립지를 사용할 수 있는 합의 조항이 있다며 맞서고 있다.
다음은 박 시장이 페이스북에 올린 글의 전문이다.
“친환경 매립만이 대안입니다. 다시 논의합시다."
대체매립지 공모가 끝났습니다. 이미 예견된 일입니다. 기존 수도권매립지와 별반 다를 것 없는 대규모 지상매립에 소각시설 등 부대시설까지 집적시키는, 이런 친환경적이지 않은 방식을 수용할 지역은 어디에도 없을 것입니다.
인천시처럼 추진해야 합니다. 소각과 재활용 극대화, 직매립 금지, 중소규모 지하매립 등 친환경 자원순환정책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늦지 않았습니다. 한계를 또 한 번 확인했을 뿐입니다. 다만 이 시기를 또다시 놓치면 그때는 후회해도 늦습니다.
다시 원점에서 논의할 책임 있는 단위의 4자 협의체 재가동을 제안합니다.
협의체 논의는 발생지 처리원칙 준수와 친환경적인 처리방식 실현에 관한 것이 될 것입니다. 어떻게 하면 환경부가 건설‧사업장 폐기물을 별도 처리하고 인천시, 경기도, 서울시가 환경정의를 지켜나갈 수 있을지 지혜를 모으는 것이 될 것입니다.
단순히 수도권매립지를 연장사용하자는 것이라면 인천시의 대답은 한결 같습니다. 인천은 새로운 길을 향해 나아갈 결심을 마쳤고 이미 가고 있습니다.
발생지 처리 원칙을 지키기 위해 이제는 모두가 뼈를 깎는 노력을 해야할 때입니다.
함께 합시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