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문 의원들 “권리당원 비중 높이자”…초재선 쇄신론 물건너가나

입력 2021-04-13 17:47
도종환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이 13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3선 의원 모임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친문(친문재인) 의원들이 권리당원 엄호에 나섰다. 4·7 재보궐선거 패착으로 ‘강성 권리당원 책임론’이 불거지자 더 강경해진 목소리로 맞불을 놨다.

친문 진영에서는 13일 다음 달 2일로 예정된 전당대회 선거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현재 대의원 45%, 권리당원 40%, 일반국민 10%, 일반 당원 5%인 투표반영 비율에서 권리당원 비중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친문계로 분류되는 한 의원은 “당권은 당원에게서 나오는 게 상식”이라며 “대의원 30%, 권리당원 50%, 일반 국민 20% 수준으로 고치는 게 맞다”고 말했다. 다른 친문 의원도 “현행 대의원 중심의 투표는 낡은 여의도 정치의 잔재”라며 “그동안 대의원의 의사가 과다대표된 것”이라며 “국회의원의 입김에 휘둘릴 수밖에 없는 대의원들이 오히려 민심과 동떨어져 있다”고 했다.

다만 이는 모든 친문 의원들 견해는 아니다. 일부 친문 의원들은 현행 투표 비중을 유지하는 게 맞다고 밝혔다. 전당대회를 앞둔 시점에 투표비율을 조절한 전례가 없는 데다 불필요한 오해를 살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비문(비문재인) 의원들은 강하게 반발했다. 권리당원 비중을 높이자는 주장은 결국 차기 지도부에 친문 인사들로 채우겠다는 의도라는 취지다. 권리당원 중에는 강성 친문 지지자들이 많아 이들의 영향력이 커질수록 친문 정치인들이 힘을 받는다. 한 3선 의원은 “목소리 큰 3000여명의 소수 극성친문 당원들이 권리당원 전체 여론을 좌지우지해온 구조”라며 “애초 이들의 목소리는 민심과 거리가 멀다”고 지적했다.

당의 중추인 3선 의원들은 권리당원에게 힘을 실어줬다. 4·7 보선 패배 이후 이날 첫 모임을 가진 3선 의원들은 강성 지지자들에 대한 질문이 나오자 “그것도 다 당심이자 충정”이라고 감쌌다. 앞서 초재선 의원들이 “반성한다”고 했던 조국 사태는 모임에서 언급조차 안 됐다. 이 때문에 “초재선 반성문보다도 후퇴했다”며 “또다시 강성 당권 주자 눈치를 보느라 쇄신안이 좌절되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왔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