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의 해양 방류 외에 뾰족한 대안이 없었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오염수 저장탱크 용량이 내년 중순 이후 포화 상태에 이르는데다 탱크를 증설할 공간도 여의치 않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일본 국내에서조차 환경단체와 후쿠시마 주민, 어업인 등을 중심으로 무책임한 처사라는 비판이 나온다.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는 13일 후쿠시마 오염수 대책 관련 각료회의에서 “처리수(오염수의 일본 정부 명칭) 처분은 후쿠시마 제1원전 폐로를 위해 피할 수 없는 과제”라며 “기준 이상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정부 차원에서 뜬소문 대책을 철저히 한다는 전제로 해양 방출이 현실적이라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후쿠시마 제1원전에는 오염수 저장탱크가 1000여기 있으며 이중 90%에 물이 들어 찬 상황이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탱크는 내년 가을쯤 완전히 포화 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원전 부지에 남는 공간이 없는 건 아니지만 폐연료봉 등 폐로 과정에서 나올 폐자재를 보관할 장소가 추가로 필요하기 때문에 탱크 증설은 어렵다는 게 도쿄전력과 일본 정부 입장이다. 오염수 대책 논의 과정에서 오염수의 지하 매설과 지층 주입 등 다른 방안도 거론됐지만 일본 정부는 해양 방류를 밀어붙였다.
일본 국내에서도 반발이 적지 않다. 일본 그린피스는 “이번 결정은 후쿠시마를 비롯한 일본 주민, 아시아·태평양 지역 사람들의 인권과 이익을 완전히 무시하는 처사로 강력 비난한다”고 밝혔다.
일본 어업인 단체인 전국어업협동조합연합회(전어련)도 “매우 유감이며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며 “해양 방류 결정을 내린 데 대해 어업인과 국민에게 책임을 지고 해명하기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
▶
▶
▶
▶
1=soc" target="_blank" style="font-size: 14px;">방사능 오염수 인체에 어떤 영향 미치나 “유전자 변형·생식기능 저하 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