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공장 다 미국으로… 고민 깊어지는 K반도체·K배터리

입력 2021-04-13 16:38 수정 2021-04-13 16:42

한국 반도체와 배터리 업체들이 앞으로 신규 공장을 추진할 때 미국을 최우선으로 고려할 수밖에 없게 됐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반도체 화상회의’에서 반도체와 배터리를 ‘인프라’로 지목하며 과감한 투자를 촉구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바이든 대통령이 중국 반도체에 대한 견제를 숨김없이 드러내면서 우리나라 기업 입장에선 미국 외엔 선택지가 없어진 것이나 다름없는 게 됐다. 이날 회의는 단기적으로는 차량용 반도체 중심의 공급 부족 문제를 논의하는 자리였지만, 장기적으로는 미국 중심의 반도체 공급 체계 재편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고민이 커진다.

당장은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확대를 통한 공급 문제 해결을 얘기하지만, 향후 한국 반도체 산업의 핵심인 D램과 낸드플래시도 미국에서 만들라고 압박을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이날 회의에서 결정된 것은 없기 때문에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는 입장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D램과 낸드플래시를 한국과 중국에서 생산한다. 삼성전자는 기흥, 화성, 평택 그리고 중국 시안 공장에서, SK하이닉스는 이천, 청주 그리고 중국 우시, 충칭에서 D램과 낸드플래시를 만든다. 첨단 공정은 한국에서 소화하고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제품은 중국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중국으로 기술 유출을 막기 위함이다.

회의를 기점으로 삼성전자는 추진 중이던 미국 투자에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170억 달러(약 19조1500억원) 규모의 반도체 공장 투자를 검토 중이다. 미국 오스틴, 애리조나, 뉴욕 그리고 한국을 후보지로 염두에 뒀으나 최근 분위기로 볼 때 미국 투자가 유력하다. 투자 규모가 더 커질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SK하이닉스는 고민이 더 깊다. SK하이닉스는 마케팅 법인만 미국에 있는데 공장을 신규로 투자할 상황은 아니다. 최근 M16을 준공했고,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를 추진 중인 상황에서 추가 투자에 나서기 여의치 않기 때문이다.


한국 배터리 3사 중 유일하게 미국 공장이 없는 삼성SDI도 미국 공장 추진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으로 2025년 7월 1일까지 부품의 75%가 역내에서 만들어져야 관세를 면제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BMW 등 유럽 차업체를 주요 고객으로 둔 삼성SDI는 한국 울산, 중국 시안, 헝가리 괴드 등에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운영 중이다. 미국 미시건주에 배터리 조립 공장이 있는데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인 배터리셀 공장은 아니다. 삼성SDI는 미시건주 공장을 확장해 배터리셀까지 만드는 것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SDI는 “결정된 것은 없으며 다각도로 검토 중”라는 입장이다.

최근 합의를 통해 미국 사업 리스크를 덜어낸 SK이노베이션은 미국 조지아 1공장을 올해 가동하고 2공장도 내년까지 완공한다는 계획이다. LG에너지솔루션도 2025년까지 미국에 5조원을 투자해 배터리 생산 능력을 확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