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환경단체 그린피스가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제1원전 방사성 오염수 해양 배출 결정에 “인권과 유엔 해양법을 소홀히 여겼다”며 비판에 나섰다. 이들 단체는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의 심사·승인 과정이 남아 오염수의 실제 해양 배출까지 2년가량의 시간이 남은 만큼 계속 해서 반대 활동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그린피스 일본지부는 13일 성명서를 통해 “이번 결정은 후쿠시마를 비롯한 일본 주민,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사람들의 인권과 이익을 완전히 무시하는 것”이라며 “방사성 폐기물의 위험성을 경시한 일본 정부의 결정을 용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후쿠시마 원전 부지나 주변 지역에 오염수를 충분히 저장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일본 정부가 무시했다고 비난했다. 또 오염수 해양 배출에 대해 “저장, 처리, 방사선 장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가장 저렴한 처리 방법을 선택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일본 정부는 이날 후쿠시마 제1원전 탱크에 보관 중인 125만t의 방사성 오염수를 20여년에 거쳐 바다에 방류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대부분의 방사성 핵종을 제거하지만, 완전한 희석은 어려워 국제사회의 반발과 우려가 뒤따르는 상황이다.
그린피스 일본지부는 어업 관계자를 포함한 후쿠시마 현지 주민들과 힘을 모아 일본 정부의 원전 오염수 해양 방출을 막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그린피스 일본지부는 2012년부터 후쿠시마 지역 주민과의 세미나 개최, 오염수 방출 반대 서명 운동, 관련 보고서 작성 등 오염수 배출 반대 활동을 전개해 왔다.
그린피스 본부 제니퍼 모건 사무 총장도 일본 정부의 오염수 배출 결정을 비판했다. 그는 “지구, 특히 세계의 바다가 많은 도전과 위협에 직면하고 있는 21세기에 일본 정부와 도쿄 전력이 핵 폐기물인 방사능 오염수를 의도적으로 태평양에 투기하고 행위를 정당화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했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