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지속 가능한 청정계곡 조성해 도민 제공”

입력 2021-04-13 09:35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지난해 6월 25일 청정 계곡·하천 복원사업 추진 1주년을 맞아 김성기 가평군수, 송기욱 전 가평군의회의장과 함께 용추계곡을 점검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깨끗한 하천 계곡을 도민들에게 돌려드리겠다”는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정책의지에 따라 2019년 6월부터 청정 계곡·하천 복원사업을 추진한지 2주년을 앞두고 있다.

경기도는 불법 시설물을 철거하는 수준을 넘어 지역경제·관광 활성화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생활 SOC 사업, 상권활성화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며 ‘지속 가능한 청정 계곡’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도는 현재까지 도내 25개 시·군 234개 하천·계곡에서 1601개 업소의 불법시설물 1만1727개를 적발해 이중 1만1680개를 철거하며 99.6%의 복구율을 보이고 있다.

특히 복원 이후 지속가능한 유지관리를 위해 ‘청정계곡 복원지역 도민환원 태스크포스(TF)’를 구성, 지역주민·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불법행위 점검·단속, 편의시설 확충, 관광·상권활성화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왔다.

먼저 614억원을 투입, 양주 장흥계곡, 포천 백운계곡 등 11개 시·군 13개 계곡을 공모로 선정해 친환경 산책로, 휴식공간, 화장실, 주차장 등을 설치하는 ‘청정계곡 복원지역 생활 SOC사업’을 추진했다.

아울러 ‘청정계곡 상권 활성화 프로젝트’ 1호로 지난해 가평북면상가번영회를 선정, 10억원을 투입해 포토존·체험학습장 등을 조성하고 생태해설, 가족캠프파이어, 북면주니어레인저 등 각종 체험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쉼’과 ‘가족체험’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추진 중이다.

이 외에도 지역별 문화관광 콘텐츠를 발굴하는 등 연계 관광 활성화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청정계곡 마을 디자인 학교 운영 시범사업’ 대상지를 선정해 지역민들이 직접 계곡을 청정하게 가꾸고 발전시킬 수 있는 기반을 다지는데도 주력하고 있다.

인파가 몰릴 성수기를 앞두고 환경 정비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불법시설물 단속 및 철거를 지속 추진함과 동시에 올해 2월에 채용해 직무교육을 마친 하천계곡지킴이 등 238명의 전문 하천감시원을 현장에 투입해 불법행위를 집중 감시할 예정이다. 또한 깨끗하고 안전한 수질 관리를 위해 6~9월 격주 1회 수질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공개할 계획이며, 개인하수처리시설 관리를 위해 홍보와 지도점검을 병행한다.

더불어 청정계곡 산림지역 내 불법시설물 정비에도 지속 힘쓰고 있다. 올해 3월말까지 불법시설물 50곳을 적발해 47곳을 정비 완료 했으며, 광주 불당리계곡 등 4곳에 대해 1860㎡ 규모의 식생복원 사업도 벌였다.

이한규 행정2부지사는 “깨끗해진 청정계곡은 지역의 중요한 자원”이라며 “그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불법행위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고, 지역 주민들과 상인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해 지속 가능한 계곡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 과제”라고 강조했다.

한편, 경기도는 경기도청 북부청사 상황실에서 이한규 행정2부지사 주재로 ‘청정계곡 도민환원 추진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그간의 복원성과를 살펴보고 향후 지속 가능한 유지관리 방안을 모색했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