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여 편파 방송’ 논란에 휩싸인 방송인 김어준을 TBS 교통방송에서 퇴출해 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이 정부 답변 기준인 20만명 이상의 동의를 얻었다.
지난 9일 청와대 청원 게시판에 게재된 ‘김어준 편파 정치방송인 교통방송에서 퇴출해주세요’라는 제목의 청원은 13일 오전 12시30분 기준 20만594명의 동의를 얻었다.
청와대 국민청원은 공개 시점부터 30일 이내에 청원 답변기준인 20만명 이상이 동의하면 정부나 청와대 관계자가 공식답변을 해야 한다. 이에 청와대가 어떤 답변을 내놓을지에 이목이 쏠린다.
다만 일각에선 TBS가 서울시 산하 출연기관이라 할지라도 서울시장의 인사권 행사가 어렵고, 서울시의회 의원 대부분이 민주당인 상황에서 해당 국민청원이 성사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청원인은 “서울시 교통방송은 말 그대로 서울시의 차량 흐름을 실시간 파악해서 혼란을 막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라며 “그러나 김어준은 대놓고 특정 정당만 지지하며 그 반대 정당이나 정당인은 대놓고 깎아내리며 선거나 정치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런 국민의 분노로 김어준을 교체하고자 여론이 들끓자 김어준은 차별이라며 맞대응을 하고 있다”며 “교통방송이 특정 정당을 지지하는 정치방송이 된 지 오래이건만 변질된 교통방송을 바로잡자는 것이 차별이냐”고 지적했다.
2016년 9월 26일 시작된 ‘김어준의 뉴스공장’은 줄곧 정치적 편향성 논란에 휩싸였다. 이번 재보궐선거에서는 일명 ‘생태탕 논란’ 보도를 이어가면서 일방적으로 오세훈 시장을 공격하는 보도가 이어져 편향성 논란이 거세게 일었고, 프로그램 폐지 주장까지 나왔다.
TBS는 서울시 산하 출연기관인 ‘미디어재단 TBS’라는 독립법인이라 서울시장의 인사권 영역 밖에 있다. TBS 이사회가 동의하지 않는 한 김어준에 대한 인사를 마음대로 할 수 없는 상황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후보 시절인 지난달 28일 “TBS 설립 목적이 있다. 교통·생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라며 “내가 당선돼도 김어준씨가 계속 진행해도 좋다. 다만 교통정보를 제공하시라”고 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