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조 친노로 꼽히는 유인태 전 국회 사무총장이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을 향해 “부끄러워해야 한다”고 일갈했다.
유 전 사무총장은 12일 SBS 주영진의 뉴스브리핑에 출연해 “청와대 민정수석 한 사람이 재산을 더 불리려고 펀드에 투자했다든가 아이들 스펙 쌓으려고 소수 특권층만이 했던 것을 한 건 부끄러워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윤석열 검찰에 의해서 조금 과도하게 피해를 당한 측면은 (있지만) 그 사람이 잘한 것은 아니다”라며 “아무 잘못이 없고 멀쩡한 사람을 생사람 때려잡은 건 아니니 양면을 다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돈을 더 불리려고 펀드 했다는 건) 상상이 안 간다. 용납이 안 된다”고 비판했다.
유 전 총장은 최근 ‘조국 사태’를 4·7 재보선 참패 원인으로 지목한 2030 의원들에 대해선 “초선들 모임, 또 젊은 5명 의원의 저런 움직임은 아주 바람직하다”고 추켜세웠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의 오영환, 이소영, 장경태, 장철민, 전용기 의원은 지난 9일 “조국 전 장관이 검찰개혁의 대명사라고 생각했지만, 그 과정에서 국민들이 분노하고 분열한 것은 아닌가 반성한다”고 밝혔다가 강성 지지자들에게 ‘초선 5적’이라며 강한 비판을 받았다.
유 전 총장은 “소위 강성 친문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과연 일부인지 대다수인지는 아직까지 잘 모르겠다”며 “생산적인 토론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어떤 사안이 벌어졌을 때 의원들이 거기에 대해서 소위 지도부나 청와대 눈치 보지 말고 소신 있는 발언들을 하는 의원들이 많이 생기면 그게 변화하는 것”이라며 “생각이 좀 다른 무슨 당원들은 그런데 너무 저렇게 뭐 공격적으로 대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고 밝혔다.
유 전 총장은 이번 보궐선거에 후보를 낸 민주당의 결정에 대해선 “당원투표에 부쳐 당원들의 뜻을 받든 것이라고는 하지만, 이낙연 전 대표가 후보를 내지 않는 거로 승부를 걸었어야 한다”며 “당헌을 한 번 실천도 안 하고 헌신짝 버리듯 하는 당이 국민들에게 어떻게 비치겠나. LH 사태가 없었어도 지는 것이 뻔한 선거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