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 청년들도 많은데…” 김제시, 퇴직공무원 기간제 채용 논란

입력 2021-04-12 14:07 수정 2021-04-12 17:19
김제시 청사. 뉴시스 사진.

“짧은 일정이라도 일자리를 찾는 젊은이들이 얼마나 많은데….”

전북 김제시가 기간제 공무원을 채용하면서 청년들 대신 퇴직공무원들만 뽑아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공고 절차를 생략한 채 특정 인사들에게 전화를 통한 채용을 실시, 시민들의 응시 기회를 막았다는 지적이 높다.

12일 김제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9명의 퇴직공무원을 기간제 공무원으로 선발, 만경읍과 백산면, 용지면, 공덕면, 청하면, 금구면, 금산면, 광활면, 교월동 등 9개 읍·면·동 복지센터에서 이날부터 근무토록 했다. 이들은 오는 8월31일까지 사무보조원으로 일할 예정이다. 이번 인사는 개발사업단 조직 개편에 따른 읍·면·동 결원에 대한 충원 대책으로 이뤄졌다.

이번에 뽑힌 직원들은 모두 김제시에서 근무하다 퇴직한 지 1년 안팎인 사람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청 인사 부서에서 퇴직자들에게 각각 전화를 해서 근무 의지를 확인한 뒤 박준배 시장이 결재를 해 이뤄졌다.

이에 시청 안팎에서는 “일자리가 필요한 지역 청년 인재들도 많은데 굳이 퇴직자들을 다시 뽑아야 했는지 의문이다. 또 특정 인사들에게만 연락한 것은 특혜 아니냐”고 입을 모으고 있다. 특히 이번 조직 개편으로 14개 복지센터에는 3명씩의 직원 충원이 필요한 상황인데도, 정규직이 아닌 퇴직자만의 단기간제 직원 모집이 바람직했느냐는 목소리도 높다. 일부에서는 이 같은 처사가 박 시장이 그동안 외쳐온 청년 일자리 창출과 크게 동떨어진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김제시 공무원노동조합은 이날 중 긴급 간부회의를 열고 이 문제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 관계자는 “아무런 공고 절차도 없이 퇴직 공무원들만 채용한 것을 이해할 수 없다”며 “얼마나 효과적일지 의문이고 일선에서는 다시 ‘선배’들을 모셔야 하는 상황이 되지 않을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제시는 근무 기간이 4∼5개월로 짧은 데다 업무의 효율성을 위해 어쩔 수 없었다는 입장이다. 한 관계자는 “담당 분야가 산업이어서 새로운 사람을 뽑아 서너달 교육시키는 게 어렵다고 봤다”며 “기간제 근로자 채용은 공개 채용이 법적 의무사항이 아니다”고 말했다.

한편 김제시는 지난 5일 개발사업단 출범에 맞춰 승진과 전보 인사를 단행했지만 핵심 관리자에 정년을 8개월 앞둔 사무관을 발령하는 등 인적 구성에 문제가 많아 큰 비난을 샀다. 이에 김제시 공무원노조는 새올행정 게시판에 ‘아직도 미궁속 인사 정의 7.0’이라는 글을 통해 집행부를 작심하고 비판했다.

김제=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