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간 일평균 580여명 확진…‘조용한 감염’ 위기 징후”

입력 2021-04-11 17:54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규모는 물론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환자의 비율도 증가하고 있다며 방역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은 11일 회의 모두발언에서 “코로나19의 확산세가 다시 시작되고 있다”며 “1월 중순부터 400명 내외로 등락을 반복하던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수가 지난주에는 일평균 580여명으로 증가했다”고 말했다.

권 1차장은 “특히 지난 수요일(7일)부터는 전국적으로는 일평균 640여명, 수도권만 놓고 보면 일평균 430여명의 신규 확진자가 보고되고 비수도권에서도 거의 모든 지자체에서 환자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학교와 학원, 음식점, 실내체육시설, 직장과 가정 등 일상 속 어디서든 감염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감염경로가 불분명한 환자 비율이 계속 증가하는 것도 위기의 징후”라고 부연했다.

권 1차장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감염경로 불명 환자 비율은 13%였으나 최근에는 25%를 넘을 정도로 증가했다.

권 1차장은 “감염경로가 불분명한 환자가 늘어난다는 것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감염 속도가 당국의 역학조사 속도를 앞지르고 있다는 위험 신호”라며 “지역사회 곳곳에서 숨은 확진자에 의한 ‘조용한 감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최근의 4차 유행 위기를 차단하기 위해 12일부터 3주간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수도권 2단계, 비수도권 1.5단계)를 유지하고 수도권과 부산 내 유흥시설은 영업금지 조치를 내렸다.

또 수도권 내 숨은 감염자를 조기에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의심 증상이 있는 사람은 의사나 약사의 권고를 받으면 48시간 내 검사를 받을 수 있게 했다.

권 1차장은 “정부합동점검반을 구성해 방역의 사각지대가 없는지 세밀하게 살피고, 각 부처가 소관 시설과 업종을 책임지고 관리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주 월요일(12일)은 대통령이 관련 부처 장관들과 함께 특별방역대책 점검회의를 통해 현재 상황을 진단하고 방역 대책도 같이 점검한다”고 전했다.

이날 중대본 회의에서는 지역별 방역 조치 상황과 콜센터 방역 대책,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 접종 재개계획 등이 논의됐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