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 보궐선거 참패 후유증을 겪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의 새로운 원내사령탑을 선출하기 위한 경선 레이스가 12일부터 본격 시작된다. 이번 선거는 친문(친문재인) 체제가 연장될지 탈(脫)친문 체제의 시작점이 될지 가늠하는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는 당 안팎의 반발이 거셌던 최고위원 선출 방식을 전당대회에서 선출하는 방식으로 11일 변경했다.
민주당 차기 원내대표 선거는 4선의 안규백 윤호중 의원과 3선의 박완주 의원 간 3자 구도로 치러질 전망이다. 이들은 12일 오전 후보 등록을 하고 출마를 선언할 예정이다. 출마가 예상됐던 김경협 의원은 후보 등록 직전 불출마로 선회했다. 윤 의원과 김 의원은 친문그룹으로 묶여 사실상 친문 후보 간 ‘단일화’가 이뤄진 셈이다.
안 의원은 당직자 출신으로 정세균계로 분류된다. 박 의원은 고(故) 김근태 전 의원의 민주평화국민연대(민평련)에서 활동해 ‘86그룹’에 속한다. 두 후보 모두 친문으로 분류되지는 않지만, 친문과 대립각을 세워오지도 않았다.
의원들의 비밀투표로 진행되는 원내대표 선거의 특성상 판세를 미리 예측하기 어렵다. 하지만 최근까지 친문 핵심으로 ‘재수’에 나서는 윤 의원의 우세가 점쳐지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지난 7일 보궐선거 참패 후 당내 기류가 조금씩 달라지고 있다. 특히 초선 의원을 중심으로 ‘지도부 책임론’이 불거지면서 안 의원이나 박 의원의 당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한 초선 의원은 “지도부 책임론이 불거지고는 있지만 원내대표 선거는 결국 의원 개개인의 판단에 따른 것이라 아무도 쉽게 예측할 수 없다”면서 “13일과 15일 열리는 토론회를 보고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원내대표 선거 결과는 향후 당의 정책 노선이나 새 지도부 구성 등을 엿볼 수 있는 가늠자가 될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윤 의원이 새 원내사령탑에 오른다면 쏟아지는 쇄신론에도 불구하고 민주당 의원들의 의중이 기존의 정부 정책을 흔들림 없이 추진해야 한다는 쪽에 쏠려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윤 의원은 21대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임대차 3법’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법 등을 처리하는데 앞장서 온 상징적 인물이다. 반면 안 의원이나 박 의원이 당선되면 초선 의원을 중심으로 분출된 ‘친문 지도부 책임론’에 무게가 실릴 수 있다.
다만 원내대표 경선 결과를 지나치게 확대 해석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도 있다. 한 여당 관계자는 “문재인 대통령 당선 이후 지금 민주당에 친문이 아닌 사람이 어디 있느냐”라며 “원내대표 경선 결과가 당권 경쟁에 영향을 미친다거나 계파 분열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민주당 비대위는 당 중앙위원회에서 최고위원을 뽑기로 했던 방침을 변경해 다음 달 2일 전당대회에서 권리당원 투표로 선출하는 방식으로 변경했다. 허영 민주당 대변인은 “당원들 뜻을 존중해 최고위원 선출방법을 수정 의결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최승욱 박재현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