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의 소송전이 분쟁 제기 713일 만에 극적으로 마무리됐다. 양사의 분쟁은 한국 기업 역사에서 가장 길고 거칠었던 싸움으로 각인될 것으로 보인다.
발단은 LG화학(현 LG에너지솔루션) 직원들이 2017~19년 사이 SK이노베이션으로 대거 이직하면서다. 2018년 SK이노베이션이 폭스바겐으로부터 배터리를 수주하자 LG가 문제를 삼았다. LG는 직원들이 이직하는 과정에서 자사 기술이 SK로 넘어갔고, 배터리 후발주자인 SK가 이를 이용해 수주했다고 주장했다. LG는 2019년 4월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와 델라웨어주 지방법원에 영업비밀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
이후 양사의 싸움은 점점 커졌다. LG화학은 2019년 5월 SK이노베이션을 경찰에 고소했고, SK이노베이션은 6월 서울중앙지법에 민사 소송을 제기했다. 또 9월에는 ITC에 서로 특허침해 사건을 제기했다.
한국과 미국 정부에서는 합의를 종용했으나, 양사는 서로 깊은 감정의 골을 드러내며 합의는 점점 어려운 상황으로 치딜았다. 2019년 9월에는 LG화학 신학철 부회장과 SK이노베이션 김준 총괄사장이 협상 테이블에 앉았으나 서로 입장차만 확인한 채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다. 양사의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자 정세균 국무총리는 올해 1월 “낯부끄럽다”며 양사의 합의를 종용하기도 했다.
싸움에서 유리한 승기를 잡은 쪽은 LG였다. ITC는 지난해 2월 LG가 제기한 영업비밀 침해 사건에서 SK의 조기 패소 예비 결정을 내렸다. 두 차례 최종 결정이 연기되다 올해 2월 SK에 미국 내 수입금지 10년 조치라는 최종 결정이 내려졌다.
SK는 미국 내 일자리 창출 등을 이유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에게 ITC 결정을 거부해달라고 요청했다. 한국과 미국 정부는 양사가 합의하도록 계속 중재를 했으며, 거부권 행사 결정 하루 전에 싸움에 종지부를 찍는 합의가 이뤄졌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