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2045년 탄소 중립·에너지 자립 도시의 성공적 실현을 위해 팔을 걷어붙인다. 올해 3000억 원 가까운 예산을 들여 빛그린 청정대기 산업 클러스터 조성 등 240개의 사업을 펼쳐 녹색도시를 향해 성큼 다가선다는 것이다.
시는 “올해 2659억 원을 투입해 대기산업 기반 구축, 미세먼지 낮춤, 자원순환 체계 확립, 푸른 도시 조성, 깨끗한 수질 관리 ·친환경 하수 관리 등의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우선 깨끗한 공기질 확보를 위한 빛그린 산단 청정대기 산업 클러스터 조성에 주력한다. 시는 이곳에 내년까지 미세먼지 대응 혁신기술 개발·실증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지난해 12월 국가 습지 보호구역이 된 장록습지는 어등산과 복룡산을 잇는 도시생태 축 복원사업을 벌인다.
또 평촌마을 누리길을 올해 말까지 만들고 생태관광 프로그램 운영을 지원해 생태·문화자원을 활용한 관광 활성화 기반을 구축하기로 했다.
9010대의 경유차 배출가스 저감, 7500여 대의 가정용 저녹스 보일러 설치 지원, 142대의 어린이 통학 차량 LPG 차 전환 지원, 1238대의 전기차 보급과 함께 광역 위생매립장을 단계별로 앞당겨 조성하고 광역 생활자원 회수센터 등 공공 폐기물자 선별시설은 대폭 확충하기로 했다.
이 밖에 도시공원·전통문화가 연계된 관광 명소인 생태문화 마을, 산림복지 기반 시설인 시립 수목원 등 대규모 녹지를 조성하고 자투리땅을 활용한 녹지 한 평 늘리기 등 사업도 진행한다.
분야별 사업·예산은 환경 도시 기반·자연환경보전 사업 32개 124억 원, 대기 질 개선사업 34개 567억 원, 폐기물 감량·자원순환 체계 구축사업 59개 414억 원, 도심 속 녹지 확충 72개 876억 원, 건강한 물 환경 조성 32개 498억 원, 친환경 하수 관리 12개 66억 원 등이다.
시는 지난 2월 말 민·관 거버넌스이자 환경정책 분야 최고 의결기구인 ‘탄소 중립도시 추진위원회’를 출범시키는 등 올해를 2045 에너지자립 도시 원년으로 선포했다.
광주지역 113개 시민·사회 단체가 ‘기후위기 비상행동’을 결성한 뒤 탄소 중립도시에 관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광주시의회가 ‘그린 뉴딜특위’를 구성하는 등 녹색도시 실현을 위한 시민사회의 활발한 참여도 이어지고 있다.
광주시 박남주 환경생태국장은 “청정대기 산업 기반·아리랑 문화 물길·시립수목원 조성,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동아시아 플랫폼 건립 등을 통해 누구나 부러워하는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