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 재보궐선거에서 기록적인 참패를 당한 더불어민주당의 패배 원인을 두고 외신들도 ‘내로남불’ 등을 지적하고 있지만 민주당 내부에선 검찰과 언론의 문제로 돌리는 강경론이 연이어 분출하고 있다.
친(親)조국 성향의 김용민 민주당 의원은 8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선거결과는 민의를 반영한다고 한다”며 “보궐선거에서 나타난 민의의 핵심은 불공정에 대한 분노”라고 분석했다.
그는 “주택가격 폭등, LH 투기 사태, 검찰이나 정치권력 특권층에 대한 무기력함, 편파적 언론에 대한 무력감, 민주당 내부의 잘못에 관대함 등등에 대한 분노가 정부와 민주당에 대한 심판으로 이어진 것 같다”고 부연했다.
김 의원은 “부동산 불공정, 기회와 과정의 불공정, 공공기관 채용비리 등등 우리 사회에 만연한 불공정을 민주당이 제대로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이번 선거에 나타난 민심”이라며 “민주당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은 분명하다. 불공정을 해소하는 것”이라 강조했다.
김 의원이 말한 불공정의 핵심은 외부에 있었다. 대표적으로 검찰이었다.
그는 “불공정을 해소하기 위해 강력한 권한을 가진 기관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검찰”이라며 “검찰이 우리 사회에서 가장 불공정한 기관”이라 지적했다.
그는 “(검찰은) 권한이 집중되어 있고, 외부의 감시와 감독을 받지 않아 가장 부패한 집단”이라며 “그러니 우리 사회의 만연한 불공정을 검찰이 나서서 해결할 수가 없는 것”이라 비판했다.
이어 “따라서 검찰을 개혁해야 한다. 중단없이 검찰을 개혁해 우리 사회의 공정성 회복의 틀을 복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김 의원은 검찰개혁 때문에 선거에서 졌다는 주장에 “검찰개혁은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현재까지 진행형이다. LH사태가 터지면서 지지율이 하락이 촉발된 것이지 검찰개혁에 대한 반발로 지지율이 하락한 것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김 의원은 “불공정을 확산시키는 언론도 제자리로 돌려놓아야 한다”며 “검찰개혁과 언론개혁은 어떠한 어려움이 있더라도 반드시 해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민주당의 국회의원으로서 저는 불공정 해소를 위한 개혁의 길을 중단없이 걸어가겠다. 저에게 주어진 검찰개혁이라는 정치적 소명은 꼭 완수하고자 한다”며 “착한 정치인이 되기 보다 (국민을 위해)강한 정치인이 되는 길을 택하겠다”며 글을 맺었다.
앞서 전날 김종민 전 민주당 최고위원도 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번 선거에서 (언론이) 좀 더 심했다고 본다”며 “(언론의 편파성 문제는) 꼭 이번 선거만이 아니라 꽤 오래됐다”고 했다.
이어 사회자가 언론의 편파성이 이번 보선에서 더 심했다고 평가하냐는 질문에 “난 그렇게 느끼고 있다”며 “(내곡동 땅 의혹 등) 이런 점들을 언론이 꼼꼼하게 따져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