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첫 선거 패배에 고개숙인 文…내각·청와대 쇄신 폭 커지나

입력 2021-04-08 16:45

문재인 대통령은 4·7 재보선 결과에 대해 8일 ‘국민의 질책’으로 표현하며 낮은 자세와 무거운 책임감을 언급했다. 서울과 부산에서 참패했다는 개표 결과가 확정된 직후였다. 문 대통령 취임 이후 선거에서 여당이 패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대통령 임기가 1년여 남은 시점, 수도 서울과 제2의 도시 부산에서 참패라는 정치적 함의 때문에 내각과 청와대에 쇄신 요구는 커질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을 통해 전한 입장을 통해 ‘낮은 자세’를 언급하며 코로나 극복, 경제 회복 민생 안정, 부동산 부패 청산 등에 매진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기자들을 만나 “이번 선거를 통해 (정부가) 국민의 마음을 얻는 데 부족했다는 점을 느꼈다”며 “앞으로 국민의 신뢰를 얻기 위해 혼신의 힘을 기울이겠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코로나 극복, 경제 회복, 민생 안정, 부동산 부패 청산 등이 이번 선거를 통해 나타난 국민의 절실한 요구라고 판단하고 있다”며 “이런 요구를 실현하기 위한 노력은 끊임없이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다만 비서실 전면 개편 등 인적 쇄신 가능성과 관련해선 거리를 두는 모양새다. 청와대 관계자는 “현재까지는 사의를 표명한 참모는 없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신현수 전 민정수석 사퇴, 김상조 전 정책실장 경질 등 일련의 사태에서 청와대의 위기 대응 능력이 한계를 드러냈다는 평가도 나온다. 또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에 대한 ‘기획 사정’ 논란에 휘말린 이광철 민정비서관, 울산시장 선거개입 사건 관련 검찰 조사를 받은 이진석 국정상황실장 등도 교체가 불가피한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세균 국무총리의 교체 등 개각은 예고된 상태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개각은 있겠지만, 날짜와 폭이 문제”라고만 했다. 정 총리를 비롯해, 사의를 표명한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 재직 2년 이상 된 ‘장수 장관’들까지 포함하는 중폭 이상의 개각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문제는 ‘구인난’이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국민일보와 통화에서 “재보선 참패는 결국 청와대의 인사 실패에 대한 여론의 심판 아니냐”며 “마지막 총리는 국정을 안정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는 역량, 다음 대선을 중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균형감, 코로나 방역 대응도 총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고 했다. 현재까지 김부겸 전 의원, 박지원 국정원장, 김영주 무역협회장 등이 하마평에 올랐지만, 선거로 나타난 민심을 반영해 아예 새로운 인사를 발탁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