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칼 쥐게 된 오세훈… TBS 김어준 방송의 운명은?

입력 2021-04-08 17:07
TBS '뉴스공장' 캡처

오세훈 서울시장이 8일 10년 만에 서울시로 복귀하면서 그동안 편향성 논란을 불러일으킨 교통방송(TBS) 개편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 보궐선거 기간동안에도 내내 여당 편에만 섰던 ‘김어준의 뉴스공장’ 프로그램의 폐지 여부가 관건이다.

오 시장은 후보 시절 언론인터뷰에서 “TBS 설립목적은 교통·생활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제 설립목적에 맞게 운영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서울시장이 TBS 임원의 임면권을 쥐고 있고 예산의 70%를 서울시가 지원, 오 시장 결심에 따라 TBS의 향후 진로는 어떻게든 큰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그러나 TBS가 지난해 별도 재단으로 독립한데다 예산 심의·의결권을 쥔 서울시의회를 더불어민주당이 장악, 오 시장의 영향력이 제한적일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TBS는 1990년 서울시 산하 교통방송본부로 출발했으나 지난해 2월 ‘서울시 미디어재단 TBS’가 출범하면서 서울시에서 독립했다. 다만 서울시로부터 매년 출연금 형태로 300억~400억원을 지원받고 있다. 올해는 375억원을 받았다. 오 시장은 “당선되면 TBS에 예산지원을 중단할 수도 있다”고 했었다. 다만 TBS가 시민들에게 교통정보 등을 제공하는 만큼 별도의 수익모델을 마련하기 전까진 당장 예산을 끊기가 쉽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의회의 반대도 예측된다.

오 시장이 TBS의 인적 청산을 위해 인사권을 행사할 수도 있다. 서울시 미디어재단 TBS 정관에 따르면 임원은 임원추천위원회에서 추천된 자 중에서 시장이 임명하도록 하고 있다. 다만 임원추천위원은 시장이 2명, 시의회가 3명, 재단 이사회가 2명을 각각 추천한다. 시장이 전권을 행사할 수 없다는 얘기다.

김어준씨 등 진행자를 교체하거나 문제가 된 시사프로그램을 폐지하도록 압박을 가할 수 있지만, 이도 쉽지는 않다. TBS가 종합편성 지상파방송사업자여서 교통정보 외에 시사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 TBS는 지난해 9월 23일 ‘정치방송을 해선 안된다’고 쓴 이준호 전 TBS 대표의 조선일보 기고를 상대로 낸 정정보도 청구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했다. 당시 재판부는 “TBS의 정치 관련 보도는 이미 허가받은 사항으로 봐야한다”고 판시했다.

무리하게 ‘뉴스공장’ 등을 폐지하려 할 경우 방송 편성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다. 오 시장이 1년 남짓 짧은 임기동안 TBS를 전면 개편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