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8일 10년 만에 서울시로 복귀하면서 그동안 편향성 논란을 불러일으킨 교통방송(TBS) 개편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 보궐선거 기간동안에도 내내 여당 편에만 섰던 ‘김어준의 뉴스공장’ 프로그램의 폐지 여부가 관건이다.
오 시장은 후보 시절 언론인터뷰에서 “TBS 설립목적은 교통·생활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제 설립목적에 맞게 운영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서울시장이 TBS 임원의 임면권을 쥐고 있고 예산의 70%를 서울시가 지원, 오 시장 결심에 따라 TBS의 향후 진로는 어떻게든 큰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그러나 TBS가 지난해 별도 재단으로 독립한데다 예산 심의·의결권을 쥔 서울시의회를 더불어민주당이 장악, 오 시장의 영향력이 제한적일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TBS는 1990년 서울시 산하 교통방송본부로 출발했으나 지난해 2월 ‘서울시 미디어재단 TBS’가 출범하면서 서울시에서 독립했다. 다만 서울시로부터 매년 출연금 형태로 300억~400억원을 지원받고 있다. 올해는 375억원을 받았다. 오 시장은 “당선되면 TBS에 예산지원을 중단할 수도 있다”고 했었다. 다만 TBS가 시민들에게 교통정보 등을 제공하는 만큼 별도의 수익모델을 마련하기 전까진 당장 예산을 끊기가 쉽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의회의 반대도 예측된다.
오 시장이 TBS의 인적 청산을 위해 인사권을 행사할 수도 있다. 서울시 미디어재단 TBS 정관에 따르면 임원은 임원추천위원회에서 추천된 자 중에서 시장이 임명하도록 하고 있다. 다만 임원추천위원은 시장이 2명, 시의회가 3명, 재단 이사회가 2명을 각각 추천한다. 시장이 전권을 행사할 수 없다는 얘기다.
김어준씨 등 진행자를 교체하거나 문제가 된 시사프로그램을 폐지하도록 압박을 가할 수 있지만, 이도 쉽지는 않다. TBS가 종합편성 지상파방송사업자여서 교통정보 외에 시사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 TBS는 지난해 9월 23일 ‘정치방송을 해선 안된다’고 쓴 이준호 전 TBS 대표의 조선일보 기고를 상대로 낸 정정보도 청구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했다. 당시 재판부는 “TBS의 정치 관련 보도는 이미 허가받은 사항으로 봐야한다”고 판시했다.
무리하게 ‘뉴스공장’ 등을 폐지하려 할 경우 방송 편성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다. 오 시장이 1년 남짓 짧은 임기동안 TBS를 전면 개편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