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사업 철수를 공식화한 LG전자가 판매 제품의 사후서비스(A/S)와 운영체제(OS) 업그레이드의 지원을 이어가기로 했다.
LG전자는 8일 “스마트폰 사업 종료 이후에도 글로벌 시장에서 국가별 기준과 법령에 따라 A/S, 부품 공급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끝까지 책임지는 모습을 통해 고객 가치를 실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앞서 LG전자는 이사회를 통해 오는 7월 말 모바일 사업 철수를 결정했다.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A/S는 제품 제조일로부터 4년간 지원한다. 사용자는 전문 수리 역량을 보유한 엔지니어들이 있는 전국 120여개 서비스센터를 기존과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
LG전자는 통신사업자 등 거래선과 약속한 제품을 공급할 수 있도록 다음 달 말까지 스마트폰을 생산한다. 고객은 사업 종료 이후에도 유통 재고가 소진될 때까지 운영체제 업그레이드, A/S 등 사후지원 걱정 없이 휴대폰을 구매할 수 있다.
스마트폰 OS 업그레이드 지원 기간도 늘린다. 기존 프리미엄 모델 2년, 일부 보급형 모델 1년에서 각 1년씩 추가해 프리미엄 모델 3년, 일부 보급형 모델 2년으로 연장한다. 지난해 출시한 LG 벨벳과 LG 윙의 경우 2023년까지 OS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OS 업그레이드는 2019년 이후 출시된 제품 가운데 프리미엄 및 일부 보급형 모델부터 적용되며, 상세한 모델은 LG전자 홈페이지에 공지될 예정이다. 다만 구글의 OS 배포 일정, 제품 성능, 제품 안정화 수준 등에 따라 지원 일정은 변동될 수 있다고 LG전자 측은 밝혔다.
LG전자는 간편결제 서비스인 LG 페이도 사업종료 후 최소 3년간 유지키로 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