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이 최대 화두가 된 대구·경북 대학들이 연대를 통해 활로를 찾고 있다. 개별 대학의 힘 만으로는 인구감소 등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어렵다는 공감대가 형성됐기 때문이다.
7일 경북대학교에 따르면 지역대학 20곳이 ‘대구경북혁신대학’ 설립 추진을 위해 손을 잡았다. 이날 경북대, 대구대, 영남대, 계명대, 대구가톨릭대, 안동대 등 14개 대구·경북 4년제 대학과 경북도립대, 영진전문대, 영남이공대 등 6개 전문대학이 모여 교육부 공모사업인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이하 지역혁신사업) 유치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지역혁신사업은 교육부가 대학과 지방자치단체 등 지역의 다양한 지역 혁신 주체들이 ‘지역혁신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2022년 한해 사업비로 686억원(지방비 30%포함)이 투입되는 대형 국책사업이다. 교육부는 오는 5월 사업 대상을 선정할 계획이다.
지역대학들은 대구경북혁신대학을 지역혁신사업의 최종 단계로 생각하고 있다. 대구경북혁신대학은 대구·경북의 사업 핵심분야(전자·정보기기, 모빌리티 부품) 육성을 위해 지역대학들이 공동으로 특화된 교육과정을 개설·운영하는 공유형 대학이다. 참여 대학 학생들은 자유롭게 교육과정을 선택해 들을 수 있다. 이수 학점에 따라 대구경북혁신대학 학위 취득, 부전공 인정, 이수증 수여 등의 방식으로 운영되며 연간 1000명의 지역 혁신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참여 대학들은 앞으로 사업 유치와 대구경북혁신대학 설립을 위해 함께 노력할 예정이며 지역 산업에 맞는 혁신 인재 양성을 위해 학사구조 개편, 교육과정 개방·공유, 학점 교류 등도 추진한다.
이처럼 대학들이 뭉친 것은 지방대학의 위기 때문이다. 지역대학 상당수가 올해 신입생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 대구와 경북의 청년 유출도 증가 추세에 있고 출산율 저하도 심각한 상황이다.
홍원화 경북대학교 총장은 “이번 협약이 학령인구 감소와 지역인재 유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대학들의 교육혁신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지역대학들이 함께 역량을 결집해야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경북대, 계명대, 대구교대, 계명문화대, 영진전문대 등 대구지역 10개 대학이 대구시와 ‘저출산 극복 인식개선 교육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저출산 극복을 위해 대학들이 공동 개발한 교과목 ‘대학생 결혼·육아 U-learning 콘텐츠’ 확산에 힘을 모으기 위한 것이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