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장 보궐선거 본투표가 열린 7일 오전 서울 각지의 투표소에는 아침부터 유권자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투표소 내 방역수칙은 대부분 잘 지켜지고 있었지만 일부 유권자들이 ‘인증 손도장’을 찍는 등 당국이 권고한 방역수칙을 어기는 모습도 보였다.
이날 오전 7시 광진구 자양2동 주민센터에는 투표가 시작되기 전부터 유권자들이 줄을 서 있었다. 이곳은 전통적으로 여당 지지세가 강한 지역구다. 1996년 15대 총선부터 현재 여당 소속 국회의원이 당선됐다. 그렇지만 투표를 마친 일부 지역구 주민들은 이번에는 야당에 무게를 실어줘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투표소에 2번째로 입장한 70대 여성은 국민일보와 만난 자리에서 “야당 후보를 지지하겠다는 주민들이 많아졌다”고 말했다. 자양동 주민 이모(49)씨도 “여당을 지지했다는 이웃들도 정부의 정책실패 때문에 이번엔 (지지후보를) 바꾸겠다고 한다”고 말했다.
유권자들은 이번 투표의 최대 쟁점을 부동산 정책으로 봤다. 강남구 대치동 인근 투표소와 서초구 서초4동 투표소에서도 아침 7시부터 시민 10여명이 줄지어 있었다. 투표소 앞에서 만난 박모(64)씨는 “(그동안) 한 번도 투표를 한 적이 없지만 정부를 심판하기 위해 나왔다”면서 “세금이 너무 많이 올랐다. 신임 시장이 공공주도 정책에 제동을 걸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인근 은마아파트 주민 박모(33)씨도 “젊은 층의 주거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공약을 내세운 후보에 표를 던졌다”고 했다.
야당 후보 역시 서울시민들의 팍팍한 삶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았다. 영등포구 대림동에서 만난 박모(28·여)씨는 “야당 후보가 토론회에서 서울 상가 평균 임대료를 24만원이라고 했는데 서민들 사정을 제대로 모른다고 생각했다”면서 “더 시정을 못할 것 같은 후보를 배제했다”고 했다. 용산구에서 꽃가게를 운영하는 이모씨(71)도 “서민 중심으로 살 수 있는 주택을 늘려주는 정책이 가장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코로나19 확진자가 600명대로 급증한 가운데 대부분 유권자들은 당국이 권고한 방역수칙을 제대로 지키는 모습이었다. 그러나 일부는 방역수칙에 어긋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중구 소공동 인근 투표소에서 만난 김모(38)씨는 손등에 투표도장을 찍어 보여줬다. 방역당국의 권고에 어긋나는 행위다. 앞서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사전투표를 하고 손가락에 투표도장을 찍어 인증샷을 남겼다가 지적을 받고 사과하기도 했다.
2m 거리두기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모습이 보이기도 했다. 송파구 문정동의 한 투표소에서는 지인으로 보이는 유권자들이 가까이 붙어서 스마트폰 화면을 함께 보며 대화하는 모습도 보였다.
황윤태 안명진 임송수 정신영 기자 trul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