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부 대변인 “동맹국들과 ‘공동’ 보이콧 협의”
국무부 당국자 “공동 보이콧 논의한 적 없다” 부인
공화당 강경파 “중국, 인권 유린…보이콧 해야”
“바이든, 인권 옹호한다면 올림픽 미국서 개최해야”
미국 정부가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불참 문제와 관련해 내부 혼선을 노출했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이 6일(현지시간) 동맹국들과 함께 미국이 베이징 올림픽 공동 보이콧 검토를 시사하는 발언을 하자 국무부 당국자가 이를 부인하며 급히 진화에 나섰다.
강경파 공화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미국에서는 중국 정부의 인권 유린을 문제 삼아 바이든 행정부에 베이징 올림픽을 보이콧할 것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분출됐다. 공화당 일부 의원들은 2022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를 옮기라는 아이디어까지 내놓고 있다.
특히 공화당의 릭 스캇 상원의원은 중국의 개최권을 박탈해 미국에서 2022년 동계올림픽을 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바이든 행정부가 보이콧을 결정할 경우 올림픽을 정치화한다는 비판이 우려스럽다. 또 미·중 갈등이 극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하지만 이날 빚어진 내부 혼선을 감안하면,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 정부를 압박하기 위해 베이징 올림픽 보이콧 카드를 저울질하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베이징 동계올림픽은 내년 2월 4일부터 20일까지 열린다.
논란을 촉발시킨 인사는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이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6일(현지시간) 언론 브리핑에서 ‘미국의 동맹국들과 베이징 올림픽 공동 보이콧을 어느 정도 협의하고 있는가’라고 질문을 받았다.
이에 프라이스 대변인은 “그것은 우리가 확실히 논의하고 싶은 것”이라고 운을 뗐다. 이어 “우리는 (보이콧에 대한) 조율된 접근은 우리의 이익일 뿐만 아니라 동맹과 파트너에게도 이익이 될 것이라고 우리는 이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프라이스 대변인은 “이것은 우리가 지금과 미래 모두 논의해야 할 의제 중 하나”라면서 “우리가 알릴 것이 있다면 그렇게 하겠다”고 답했다.
특히 프라이스 대변인은 ‘동맹들과의 공동 보이콧 논의가 언제 결정되느냐’는 질문에 “우리는 2022년 일을 얘기하고 있으며 아직 2021년 4월”이라며 “시간표를 제시하는 것을 원치 않지만, 논의는 진행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공동 보이콧 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으나, 동맹국들과 이에 대한 협의에 착수했다고 밝힌 것이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또 “(중국) 신장 지역 집단학살 등 중국의 지독한 인권침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중국의 아킬레스건을 건드렸다.
프라이스 대변인의 발언이 알려지자 국무부는 발칵 뒤집어졌다. 미 국무부는 동맹국들과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공동 보이콧 여부에 대해 논의했다는 사실을 부인했다고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가 보도했다.
국무부 당국자는 “2022년 올림픽에 대한 우리의 입장은 달라지지 않았다”면서 “우리는 동맹국들과 공동 보이콧 문제를 논의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당국자는 “우리는 중국 문제와 관련해 동맹국들과 공동의 우려에 대해 정기적으로 논의하고 있다”고 교과서적인 입장을 내놓았다.
그러나 미국 보수진영에선 베이징 올림픽 보이콧에 대한 요구가 거세다. 공화당의 스캇 상원의원은 미국이 2022년 동계올림픽을 개최할 것을 촉구했다고 폭스뉴스가 보도했다.
다만, 스캇 상원의원의 주장은 바이든 대통령을 흠집내기 위한 의도가 더 커 보인다. 조지아주가 흑인 등 유색 인종의 투표권을 어렵게 만드는 입법에 나서자 미국프로야구(MLB)가 올해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열릴 메이저리그 올스타전 장소를 다른 지역으로 옮기겠다고 발표한 데 대해 바이든 대통령은 지지 의사를 밝혔다.
스캇 의원은 “바이든은 올스타전 장소를 변경하는 것은 찬성하고, 신장 위구르족에 대해 집단 학살을 자행하는 중국에서 동계올림픽 개최지를 바꾸자는 요구는 거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바이든이 진정으로 인권을 옹호하다면, 그는 즉시 중국에서 미국으로 올림픽 개최지를 변경하는 절차에 착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