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피격사건 전사자 유가족과 생존 전우 대표가 6일 청와대를 방문해 문재인 대통령과의 면담을 요청했지만 불발됐다.
천안함 전사자 고 이상희 하사의 부친인 이성우 천안함 유족회장과 고 민평기 상사의 형 광기씨, 최원일 전 천안함장(예비역 해군 대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 연풍관을 찾아 청와대 시민사회수석실 행정관을 면담했다.
유족 측은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 면담과 진상규명위의 ‘천안함 재조사’ 결정 경위에 대한 조사, 관계자 처벌 등을 요구했다. 이 유족회장은 “대통령이 나서 천안함 폭침은 북한의 소행이라고 공식 발표하는 것만이 재발 방지를 막는 길”이라고 했다.
천안함 유족회는 대통령 소속 군사망 사고 진상규명위원회(진상규명위)에 천안함 재조사 결정을 했다가 번복한 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진상규명위는 지난해 9월 ‘천안함 좌초설’을 주장해온 신상철 전 민군합동조사단 조사위원으로부터 ‘천안함 사건 희생자들의 사망 원인을 규명해 달라’는 진정서를 받고 12월 그에 대한 조사 개시를 결정했다.
그러나 진상규명위는 지난달 31일 이 같은 사실이 언론 보도를 통해 알려지자 지난 2일 긴급회의를 소집해 ‘신씨는 관련 법령이 정한 진정인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조사 개시 결정을 뒤엎고 신씨의 진정을 각하했다.
국방부도 진상규명위로부터 천안함 관련 조사 개시 결정문을 받고도 서욱 국방부 장관에겐 보고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었다.
부승찬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진상규명위 결정문이) 관련 부서가 아닌 다른 부서로 가는 바람에 세부내용을 확인하지 못한 부분이 있었다”고 해명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