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유발효과 1조’ 대구형 스마트도시계획 정부 승인

입력 2021-04-06 11:11
국민DB

대구시는 도시문제 해결과 도시경쟁력 확보,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수립한 스마트도시계획이 국토교통부의 최종 승인을 받았다고 6일 밝혔다.

스마트도시계획에는 2021~2025년 대구형 스마트도시 모델 창출을 위한 스마트도시 비전과 추진전략, 6개 중점분야와 26개 스마트도시 서비스 구축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이 담겨 있다. 지방자치단체가 스마트도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법률에 따라 관련 계획을 세워 국토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대구시는 ‘삶터와 일터가 행복한 스마트 대구’를 비전으로 정했으며 시민공감, 기업상생, 공간혁신을 추진방향으로 삼았다. 추진전략으로 체감형 서비스 구축, 시민참여 확대, 비즈니스 모델 창출, 첨단산업 환경 조성, 디지털 전환, 공간배치 혁신을 제시했다.

6개 중점분야는 경제, 교통, 안전, 환경, 복지, 행정이다. 경제 분야는 제조공정 혁신 기반 기업지원 및 창업, 일자리 미스 매치 해소, 안전하고 편안한 산단 조성, 스마트관광 인프라 개선, 스마트 쇼핑, 관광 미디어 콘텐츠 개발, 5세대이동통신(5G)기반 스마트 관광서비스 플랫폼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교통 분야는 첨단교통시스템(ATMS), 인공지능(AI)기반 교통신호체계(알파 브레인),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C-ITS), 스마트파킹 확대 및 고도화, 자율주행 셔틀 등의 미래 교통이 핵심이다. 안전과 환경, 행정 역시 신기술을 적용한 혁신 사업 추진이 주요 내용이다.

대구형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해 2025년까지 5869억원이 투입될 전망이다. 스마트도시 구축이 완료되면 생산 유발효과 1조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4400억원, 고용 유발효과 4500명 이상이 기대된다. 재원은 중앙정부에서 추진 중인 스마트도시 관련 시범사업, 연구개발(R&D)사업, 도시재생 뉴딜사업 등과 연계해 확보하거나 대구시 자체 투자, 민관협력 사업화를 통해 충당해 나갈 계획이다.

대구시는 스마트시티가 완성되면 시민들의 출·퇴근시간 감소, 도시 범죄 및 교통사고 발생 감소, 행정처리 시간 단축, 포용적 복지 등이 가능해져 시민들의 삶이 더욱 여유로워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또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통해 모인 데이터가 신산업 성장동력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앞으로 5년간 진행될 스마트도시 조성을 위한 밑그림이 완성됐다”며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를 구현하고 이를 통해 기업도 동반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