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투자은행 한국 올 성장률 3.8%…넉달째 ↑

입력 2021-04-06 07:30 수정 2021-04-06 09:54

세계 주요 투자은행(IB)이 넉 달 연속 상향 조정한 끝에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3.8%로 내다봤다.

6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3월 말 현재 바클레이즈,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BoA-ML), 씨티, 크레디트스위스, 골드만삭스, JP모건, HSBC, 노무라, UBS 등 해외 IB 9곳이 전망한 올해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평균 3.8%다.

2월 말 집계보다 0.2% 포인트(p) 높은 수치로 이들 IB는 지난해 12월부터 4개월 연속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올려잡았다. 다만 수치만 봤을 때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3.8%)는 아시아 국가 10곳 가운데 태국(3.2%)에 이어 아래서 두 번째 값에 해당했다.

이들 IB는 아시아 10개국 가운데 한국과 대만(5.3%·+0.6%p) 인도(11.3%·+0.2%p) 싱가포르(6.5%·+0.2%p)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올렸고, 인도네시아(4.5%·-0.1%p) 필리핀(7.1%·-0.2%p) 베트남(7.1%·-0.8%p)의 전망치는 내렸다. 홍콩(4.5%) 말레이시아(5.9%) 태국의 성장률은 지난달 수준을 유지했다.

3월 말 기준 전망치를 IB별로 보면 UBS가 0.7% 포인트 올려 전체에서 가장 높은 4.8%를 제시했다. BoA-ML(3.9%)은 0.5% 포인트 올렸고, 골드만삭스(4.1%)와 바클레이즈(3.7%)는 나란히 0.3% 포인트씩 상향 조정했다. JP모건(4.1%)은 0.1% 포인트만 올려잡았다.

크레디트스위스(3.6%) 노무라(3.6%) HSBC(3.4%) 씨티(3.3%) 등은 한 달 전 값을 유지했다. 3월 말 현재 이들 IB 9곳이 제시한 2022년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는 전월과 같은 3.0%다.

한편 바클레이즈, BNP파리바, BoA-ML, 씨티, 골드만삭스, JP모건, 노무라, 소시에테 제네랄, UBS 등이 전망한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은 6.2%로 한 달 전보다 0.2% 포인트 올랐다.

이들 IB는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6.4%로 0.7% 포인트 올렸다. 골드만삭스는 대규모 재정 부양책과 초기 목표를 웃도는 백신 보급 속도 등을 고려해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올렸다고 설명했다.

반면 중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8.5%)는 0.1% 포인트 내렸다. 1∼2월 경제지표는 양호했으나 향후 회복세는 백신 보급 지연, 신용경색 가능성 등으로 둔화할 수 있다고 BNP파리바는 예상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