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만 있으면 누구나 쉽게 4·3유적지를 찾아갈 수 있다. 사진을 통해 4·3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는 코너도 마련했다.
㈔제주4·3연구소가 4·3 73주년을 맞아 카카오맵과 다음(daum) 갤러리 등 온라인을 통해 4·3유적 콘텐츠를 선보이고 있다.
이번 사업은 4·3에 대해 깊이 알고자 하는 대중적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4·3유적을 조사하고 있는 제주4·3연구소가 ㈜카카오에 콘텐츠를 제공하면서 성사됐다.
카카오맵에는 현재까지 주요 4·3유적 29곳이 등록됐다. 이 가운데 10곳을 묶은 4·3유적 콘텐츠 테마 지도에는 4·3의 도화선이 된 1947년 3·1사건 현장인 관덕정 광장을 시작으로, 4·3 이후 피해자들의 삶이 어떠했는지를 짐작할 수 있는 무명천 할머니 삶터 등이 소개됐다.
다음(daum) 갤러리에서는 ‘화사한 봄꽃길따라 4·3의 아픈 역사따라, 제주 4·3유적’이라는 제목으로 온라인 전시가 시작됐다. 4·3발발에서 초토화 작전 시기까지 사진을 통해 제주 4· 3의 아픈 역사를 살펴볼 수 있다. 4·3유적을 시기 별 주제 별로도 정리했다. 갤러리에서는 4·3유적의 현재와 과거 모습을 모두 볼 수 있다.
그동안 국내 포털 지도 서비스에는 제주4·3평화공원, 너븐숭이4·3기념관 등 일부 유적만 등록돼 현장을 통해 4·3의 전체 줄기를 이해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허영선 제주4·3연구소장은 “연구소가 진행하는 여러 행사에서 4·3유적을 알고 싶다는 일반인들의 문의가 많았다”며 “4·3유적은 제주 전역에 걸쳐 수백 곳이 있고 이중 카카오맵 지도에는 일부만 등록됐지만 앞으로 4·3에 대한 일반의 이해를 높여나가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제주4·3유적 다음 갤러리 페이지뷰는 5일 현재 10만을 넘어섰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