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수리조선산업 스마트화 중심지로 도약

입력 2021-04-05 14:49 수정 2021-04-05 15:11
부산항의 한 수리조선소에 입항한 러시아 선박. 연합뉴스

부산시가 수리조선산업 스마트화를 선도하는 중심지로 도약할 전망이다.

부산시는 올해부터 2023년까지 77억6000만원(국비 52억8000만원, 시비 24억8000만원)을 투입해 플랫폼 구축과 첨단장비 확충, 인력양성 등 ‘스마트 수리조선산업 지원기반 구축사업’을 추진한다고 5일 밝혔다. 지역 수리조선산업 고도화에 국비와 시비가 투입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시에 따르면 최근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2021년도 스마트 특성화 기반구축사업’ 중 수리조선 분야 지원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수리조선산업은 기존 선박의 개조나 보수, 정비 등을 수행하는 산업활동으로, 선박의 내외부수리와 개조(Retrofit), 검사 등을 중심으로 해운, 선박관리, 선용품, 조선기자재, 기계, 철강, 전기·전자산업 등 여러 산업 분야와 연계되어 있어 직·간접적인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산업이다. 하지만 최근 중국·싱가포르·말레이시아 등 인건비가 저렴한 해외 조선소와 경쟁하면서 기술융합 기반의 산업 고도화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시는 부산테크노파크와 중소조선연구원, 한국선급, 한국선박수리협동조합사업 등 사업 참여기관과 더불어 한국플랜트엔지니어링협동조합, 부산항만공사, 한국해양대, 부경대학교 등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2023년까지 ’스마트 수리조선산업 지원 플랫폼 구축’ ‘친환경 블라스팅(blasting), 역설계 등 첨단장비 확충’ ‘검사·인증 등 기술지원’ ‘청년 유입을 위한 수리조선 전문교육 프로그램 운영’ ‘신규 해외시장 개척 마케팅 지원’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향후 관련 산업의 매출액 증가(420억 원)와 직·간접 고용 창출(124명 이상)은 물론, 경제기반형 뉴딜사업과 맞물려 높은 사업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시는 기대했다.

이병진 부산시장 권한대행은 “이번 사업 유치로 부산지역 수리조선산업의 사고예방, 주변 환경개선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국내 수리조선산업의 70%가 집중돼있는 부산지역이 4차산업혁명 시대에 수리조선업의 스마트화를 선도하는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