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와 대구경찰청이 스마트 교통망 구축을 위해 손을 잡는다. 인공지능(AI)과 데이터 기술을 공유해 최적의 교통 흐름을 만들어내는 것이 목표다.
대구시와 대구경찰청은 5일 대구시청에서 전국 최초로 ‘스마트교통 및 사회안전체계 구축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두 기관이 핵심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도심 교통 흐름 개선(대구시)과 안전한 사회 조성(대구경찰청)에 스마트 기술을 적용하고 관련 데이터를 서로 공유하기 위해 진행됐다. 두 기관은 인공지능기반 스마트교통체계 구축과 운영, 사회적 약자 보호 등을 위한 사회안전체계 구축, 교통·안전 빅데이터 연계를 통한 공동 활용 등을 실시한다.
대구 도심은 동·서축으로 산업단지 등 직장이 모여 있는 구조라 출·퇴근 정체가 심하다. 이에 2023년까지 도심 4차 순환선 내 250여개 교차로에 단계적으로 지능형 CCTV를 설치해 교통 데이터를 수집한다. 또 AI를 이용한 교통정보 분석을 통해 신호 주기 최적화와 보행자 안전 확보에 나선다. 두 기관은 스마트교통체계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 신호등주 등 교통인프라 공동 활용, 스마트신호제어 운영, 교통빅데이터 연계 등 협업을 실시한다.
AI 기반의 스마트교통체계가 성공적으로 정착되면 도심 내 만성적인 교통정체 개선(15%)과 보행자 안전 확보, 출퇴근 시간 감소 효과가 기대된다. 지난해 11월 도로교통공단이 남구 대명로(성당네거리~남구청네거리 3.91㎞, 13개 교차로)를 대상으로 스마트 교차로 신호체계를 연구한 결과 해당 구간에서만 연간 차량운행비 5억4000만원, 시간비용을 포함한 혼잡비용 24억4000만원, 환경비용 1억1000만원의 절감효과가 확인됐다.
두 기관은 향후 자율주행 등 미래 첨단교통수단 도입에 공동으로 대비하고 다양한 시민체감서비스도 발굴할 방침이다. 두 기관은 ‘사회적 약자 보호’ 정책의 내실 있는 실현을 위해서도 힘을 모은다. 빅데이터를 통한 지역별 범죄 위험도 분석 등 안전·치안에도 스마트 기술을 도입한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