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4채 중 1채는 종합부동산세 대상인 공시가 9억원 이상이라는 집계가 나왔다.
김은혜 국민의힘 의원이 5일 국토교통부의 ‘공동주택공시가격 구간별 전국 아파트 물량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서울의 공시가 9억원 이상인 아파트(40만6167채) 비율은 서울 내 전체 공시대상 아파트(168만864채)의 약 24.2%로 나타났다. 2019년 12.37%, 2020년 16.8% 수준이었던 데 비해 크게 늘었다.
결국 서울 아파트 4채 중 1채가 종부세 대상이라 ‘서울세’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전국 공시가 9억원 이상 아파트 51만5084채 중 서울은 40만6167채로 78.9%를 차지했다. 이어 경기도(15%) 부산(2.4%) 인천(0.2%) 등 순이다.
올해 서울의 공시가 9억원 이상 아파트(40만6167채)는 지난해(27만5959채) 대비 12만여채 늘어 상승률이 47.2%에 달했다.
김 의원은 “상위 1%가 내는 세금이라던 종부세가 현 정부 들어 중산층세로 변질됐다. 특히 올해 공시가격이 대폭 오르면서 서울시민들은 세금 공포에 휩싸인 상황”이라며 “종부세 폭탄은 가정은 물론 내수 경기 회복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될 만큼 종부세 과세기준에 대한 전반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