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투표로 유불리 판단 못한다”…여야는 저마다 승리장담

입력 2021-04-04 16:46 수정 2021-04-04 17:33

지난 2~3일 실시된 4·7 재보선 사전투표가 역대 최고 수준인 20.54%를 기록했다. 이를 두고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사전투표 만으로 판세를 예측하는 건 무리”라며 신중론을 주문했다. 제도가 안착돼 사전투표율 자체가 상향 추세이고, 야당의 정권심판론에 맞선 여권 지지층 결집도도 높아지고 있어서다. 전문가들은 여야만 바뀌었을 뿐 모든 조건이 ‘판박이’인 2011년 서울시장 보선 투표율을 넘어서느냐가 중요한 문제라고 입을 모았다.

여론조사업체 관계자는 4일 “이번 사전투표를 2018년 지방선거와 비교하는 건 넌센스”라며 “2011년 보선과 비교해 총 투표율이 높은지를 보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2011년 오세훈 당시 서울시장이 무상급식 주민투표 결과로 사퇴하면서 그해 10월 서울시장 보선이 열렸다. 당시 상황은 여야가 바뀌었을 뿐 지금과 유사하다. 2008년 18대 총선에서 여당인 한나라당은 서울에서 국회의원 40명을 석권해 2020년 21대 총선에서 41석을 확보한 민주당과 비슷하다.

2011년 나경원(한나라당) 대 박원순(무소속), 박영선(민주당) 대 오세훈(국민의힘)의 남녀 대결 구도도, 야권 단일화(박원순·안철수)도 모두 같다. 당시 총 투표율은 48.6%를 기록했다. 개표 결과 박원순 후보가 53.40%(215만8476표) 득표율로 서울시장에 당선됐다. 다만 당시엔 사전투표제가 없었다.

이 관계자는 “사전투표율이 높다는 사실만으로 진영의 유불리를 다지는 건 어렵다. 어느 진영이 많이 갔는지 알만한 데이터가 없기 때문”이라며 “10년만에 생긴 판박이 선거에서 2011년 투표율을 넘는지 여부가 승부를 알 수 있는 바로미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총투표율이 아주 낮은 상태가 아니면 의미가 없다. 이 경우엔 여권이 불리할 것”이라며 “투표율이 낮을 때는 지고 있는 후보에 불리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부연했다.

배철호 리얼미터 수석위원은 “이번 선거에 관심이 높고, 본 선거일이 휴일이 아니어서 사전투표 선호도가 높았던 점, 제도가 안착된 점 등에 의해 사전투표율이 올라갔다”고 분석했다. 그는 “그동안 사전투표를 선호하는 젊은 층이 많다는 점에서 진보진영에 유리했으나 지금은 이 세대에 심판 정서가 강하다”며 “반면 여권에선 ‘이렇게까지 밀릴 순 없다’는 결집세가 있을 수 있어 뭐가 뭔지 알 길이 없다”고 내다봤다. 이어 “사전투표율이 높다고 본투표율이 높은 건 아니다”며 “투표율이 아주 낮을 경우 조직력이 강한 민주당이 유리하다고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여야는 그러나 높은 사전투표율에 각자 셈법을 앞세워 승리를 장담하고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사전투표는 무조건 조직력과 충성도 높은 지지층의 결집”이라며 “위기감을 느낀 민주당 지지층이 결집했다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박빙 승부가 될 것이다. 약 5%의 정의당 지지표도 가져오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불리하지 않다는 표현이 정확하다”며 “당에서 많이 독려했고, 정권견제론에 따라 분노한 사람이 많이 투표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민주당 지지층 결집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국민의힘 선대위 관계자는 “25%는 기대했는데 높지도, 낮지도 않다”며 “민주당 지지층도 나름 결집하는 게 느껴진다. 간단치 않다”고 했다.

강준구 이현우 김동우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