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과 함께 간다”…미얀마 무장단체들, 군부에 반기

입력 2021-04-04 15:18 수정 2021-04-04 15:20
지난 3일 미얀마 최대도시 양곤에서 군부에 맞서 시민들이 직접 만든 공기소총으로 무장해 있다. 이들은 군부의 무차별적인 총격에 대비하기 위해 자위용 무기를 들고 거리로 나섰다. AP 연합뉴스

미얀마 군부가 쿠데타에 맞선 시민들에게 무차별적인 총포를 휘두르는 가운데 미얀마 내 주요 10개 소수민족 무장단체가 ‘국민과 함께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군부의 유혈진압이 거세질수록 미얀마 정세가 내전으로 치닫는 모양새다.

4일 AFP통신 등에 따르면 이들 소수민족 무장단체 지도부는 전날 화상회의를 열어 시위대를 향한 군경의 실탄 사용 등 무력 진압에 대해 강력 비판했다. 지도부 중 한 명인 욧 슥 샨족복원협의회(RCSS) 장군은 “군부 지도자들이 (유혈 진압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이들은 쿠데타 발발 20일만인 지난 2월21일 군사정권에 반대, 시민 불복종운동을 지지한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이들 무장단체는 앞선 테인 세인, 아웅산 수치 문민정부 하에서 맺은 휴전 협정을 재검토하겠다고도 밝힌 상태다. 이들은 “(10개 소수민족 반군단체는) 독재 종식을 요구하는 국민들을 확고하게 지지한다고 말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미얀마 소수민족 무장단체인 카렌민족연합(KNU). 이라와디 캡처

미얀마 소수민족 무장단체 지도자 중 한명인 욧 슥 샨족복원협의회(RCSS) 장군. 이라와디 캡처

무장단체들의 이런 움직임은 민주진영을 향한 화답의 메시지로 풀이된다. 앞서 지난 1일 민주진영은 2008년 만들어진 군부 헌법을 폐기한다고 발표하며, 국민통합정부 출범을 선언했다. 당시 민주진영은 소수민족의 권익을 보장하는 내용이 담긴 과도헌법을 선포하기도 했다. 소수민족 무장조직과의 연대를 공식화한 것이다.

한편 10개 무장단체 중 하나인 카렌민족연합(KNU)은 이날도 군부를 향해 날을 세웠다. KNU는 쿠데타 이후 남동부 카렌주 인근에서 미얀마 군부와 계속 충돌하고 있다. KNU는 성명에서 “미얀마군이 지난달 27∼30일 지나친 폭격과 공습을 했다. 아이들을 포함해 많은 이들이 사망했다”며 “공습으로 인해 1만2000명 이상의 주민이 집을 떠나 피신해야 했다”고 맹공을 펼쳤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