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을 내서 마련한 서울 외곽 주택이나 9억원 이하의 주택이 집값 하락에 상대적으로 더 취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송민규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4일 ‘가계부채 리스크(위험) 관리를 위한 주요 모니터링(감독) 사항’ 보고서에서 “주택가격 하락으로 인한 리스크를 조기에 감지하기 위해서는 금융회사별 부실화 가능성뿐만 아니라 담보 주택의 지역 및 가격대 등 차주 및 담보물건의 특성에 따른 세분화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그러면서 “2020년 주택가격 급등기에 대출 규제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했던 서울 외곽지역의 LTV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추산된다. 담보주택의 가격대로 볼 때 9억원 이하 주택의 LTV가 높은 경향이 관측된다”고 덧붙였다.
송 연구위원은 “향후 종합부동산세, 보유세, 대출규제 등의 강화로 주택가격이 하락할 수 있다”며 “이로 인한 리스크 발생 가능성도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최근 주택가격 상승기에 대출 규제가 지속적으로 강화됐으며 이를 우회하기 위해 전세를 활용한 매입, 금융회사 차입 외 사적 차입 등이 적극적으로 활용됐을 것으로 보인다”며 “전세가격도 중점 모니터링 대상에 포함된다”고 밝혔다.
송 연구위원은 이외에도 가계부채 상환능력의 근간이 되는 가계소득 변동, 지난해 개인 투자가 급격히 증가한 주식 가격의 변화 등도 가계부채의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 주목해야한다고 부연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