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성차와 수소연료전지 공장을 갖춘 울산이 도심항공 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도전에 나선다.
울산시는 오는 5월 예정된 정부의 5차 규제자유특구 공모에 도심항공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를 신청한다고 4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최근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소벤처기업부, 기상청 등은 합동으로 한국형 도심항공모빌리티(K-UAM) 기술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 로드맵은 지난해 6월 발표된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로드맵의 후속 조치로 UAM을 교통수단으로 활용하는데 필요한 핵심기술 확보전략을 담고 있다.
기술 로드맵은 기술 수준에 따른 시나리오 분석으로 초기(2025~2029년), 성장기(2030~2034년), 성숙기(2035년~) 등 3단계로 도심항공모빌리티 시장을 구분하고 목표를 설정했다.
성숙기에 접어드는 2035년 배터리 용량 증대 및 기체 경량화에 힘입어 도심항공모빌리티의 비행 거리가 300㎞(서울~대구)로 늘어나고, 속도도 시속 300㎞로 빨라진다.
울산이 이번에 도심항공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에 지정되면 도심지안에서 도심항공모빌리티(UAM·Urban Air Mobility)하늘을 나는 자동차를 볼 수 있다.
UAM은 도심지역 인구 과밀화에 따른 교통체증과 환경문제 해결수단으로, 도시의 공중공간을 활용하는 신개념 교통체계다.
시는 도심항공모빌리티가 이착륙할 수 있는 기지를 태화강역 인근에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울산은 풍부한 제조기반을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UNIST, 현대자동차 등 최고의 기술개발 연구진도 포진해 있다.
UNIST는 지난해 10월 문재인 대통령이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손흥선 교수팀의 개인형 비행체와 이희승 교수팀의 개인 모빌리티 ‘앙고(AngGo)’ 등 현재까지의 연구성과를 소개하기도 했다.
UNIST 미래차연구소는 모의비행 장치를 개발하는 등 2016년 부터 울산지역 중소 벤처기업 30곳과 함께 미래 모빌리티 시대를 이끌기 위한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울산시는 문재인 대통령에게 ‘울산 친환경 미래차 육성 전략(9개 프로젝트)’을 설명하고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건의했다.
시 관계자는 “그 동안 주춤했던 UAM 사업이 이번 정부의 로드맵 발표로 확실한 청사진이 나온 만큼 규제자유특구 사업으로 재추진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울산시,도심항공 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도전
입력 2021-04-04 13:18 수정 2021-04-04 1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