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3일 한·중 양국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한국 방문을 위한 협의를 시작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이날 중국 푸젠성 샤먼에서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 회담한 뒤 기자들과 만나 “코로나19 상황이 안정되는 대로 가급적 조기에 시 주석의 방한을 추진하기로 했다”며 “(방한) 일정이라든가 구체적 계획은 협의를 개시하기로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양국은 그동안 시 주석 방한과 관련해 코로나19 상황이 안정되면 추진한다는 기본 입장을 유지해왔다. 이번 한·중 외교장관 회담에서 방한 일정 협의를 시작하기로 한 건 한발 나아간 것으로 평가된다.
외교부 고위당국자는 “올해 시 주석 방한은 가능하고 중국도 그런 방향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그러나 중국은 한국보다 코로나19 방역이 철저해 그 부담이 없어질지 예측하기 힘들다”고 설명했다.
또 “우리는 한한령 해제에 대한 정부 입장을 확실히 개진했다”며 “중국도 답이 있지 않겠는가”라고 덧붙였다. 한·중 양국은 2017년 10월 사드(THAAD) 배치로 인한 갈등을 봉인하기로 합의했지만 중국 측의 관광, 문화 교류 제한은 완전히 풀리지 않고 있다.
정 장관과 왕 부장은 미·중 갈등과 관련해서도 솔직하게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왕 부장은 모두발언에서부터 정면충돌한 미·중 알래스카 고위급 회담과 관련해 갈등만 있는 건 아니었다는 취지로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고위당국자는 “미·중이 각을 세운 건 1시간이었다”며 “(나머지) 8시간동안 좋은 대화를 많이 나눴고 긍정적인 측면으로 이야기한 게 많았다”고 전했다.
이 당국자는 미·중 사이 한국이 취할 입장과 관련해 “미국은 한국의 동맹이고 중국은 지리적 문화적 역사적으로 가까운 중요한 파트너”라며 “미·중 관계가 건전하게 발전하는 것이 한반도 및 동북아 평화에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중 양국 외교장관은 북핵 문제와 관련해선 한반도 비핵화라는 목표에 공감했지만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움직임에 대해선 따로 의견을 교환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