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6월 G7(주요 7개국) 정상회의 전에 첫 정상회담을 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일 안보실장 협의차 미국을 방문 중인 서훈 국가안보실장이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좌관과의 면담에서 이 문제를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양국의 코로나19 상황 등으로 정상회담 시기는 여전히 유동적이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정상회담 추진과 관련해 “한·미 양국은 정상회담 개최 방안을 계속 긴밀히 협의해 오고 있다”고 밝혔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한·미·일 안보실장 회담이 열리기 전에 정상회담 개최 여부를 확정적으로 말하긴 어렵고, 양국이 조율 중”이라며 “미국이 조만간 대북 정책을 확정하기 위해서라도 대면 정상회담 필요성이 있다”고 했다.
실제로 문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2월 4일 첫 통화에서 코로나19 상황이 진정되는 대로 정상회담을 하자는 데 공감했다. 당시 바이든 대통령은 대면 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문제는 시점이다. 코로나19 상황 탓에 문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은 6월 11일∼13일 영국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에서 첫 대면 회담을 할 것으로 예측됐다. 하지만 한·미 안보실장이 G7 이전에라도 양국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데 뜻을 모은다면 이달에라도 정상회담은 가능하다. 이 경우, 문 대통령이 미국을 찾는 방식에 무게가 실린다.
바이든 대통령이 16일 미국을 찾는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열기로 한 점도 한·미 정상의 4월 회담 관측에 힘을 싣는 요인이다. 바이든 대통령이 한·미·일 협력을 강조하고 있어, 미·일 정상회담에 이어 한·미 정상회담도 성사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미국의 대북 정책 검토에 얼마나 더 시간이 소요될지 알 수 없다는 문제가 남아있다. 또 22일∼23일 바이든 대통령 초청으로 문 대통령 등 40개국 정상이 참여하는 화상 기후정상회의가 열리는 점도 변수다. 이에 따라 6월 G7 전에 정상회담 개최는 여전히 불투명하다는 관측도 나온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