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신인 박영선·오세훈 살펴보니…朴 ‘디지털’ 吳 ‘시민운동’

입력 2021-04-02 05:00 수정 2021-04-02 05:00
2008년 총선에 출마한 박영선 후보의 공보물과 2000년 총선에 출마한 오세훈 후보의 모습. 중앙선관위

4·7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출마한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의 경쟁도 막바지 단계에 이르렀다. 두 후보는 정치경력이 20년 안팎인 중진 정치인들이다.

두 후보는 정치신인 시절 자신의 어떤 강점을 내세웠을까. 2008년 총선에서 서울 구로을에 출마해 재선에 도전했던 박 후보는 당시에도 ‘디지털’ 공략을 강조하는 동시에 지역별 세부 공약으로 유권자를 공략했다. 2000년 서울 강남을에서 처음 정치에 도전했던 오 후보는 자신의 변호사 경력을 내세우며 ‘환경운동’을 강조했던 시민운동가였다.

박 후보는 2008년 당시에도 디지털 공약을 강조했다. 그는 공보물을 통해 “컨벤션·문화·소비기능이 복합된 디지털 콘텐츠센터를 구로의 랜드마크로 세우고 구로 디지털 단지를 스웨덴의 시스타 사이언스 시티로 만들겠다”고 했다. 박 후보는 당시 문화와 디지털을 접목해 영화산업을 살리겠다며 ‘세계디지털 영화제 유치’와 친환경 도시를 만드는 사업인 ‘에코디지털 박람회 개최’ 등을 공약으로 제시했다.

13년이 지난 지금도 박 후보의 디지털에 대한 관심은 이어지고 있다. 박 후보는 중기부장관 시절 디지털 경제로의 재편을 위해 중소·벤처기업과 소상공인의 스마트화를 추진한 데 이어 서울시장 후보 공약으로 ‘세계 디지털 경제수도 서울’을 약속했다. 자신의 정치신인 시절 공약을 현재까지 이어나가고 있는 셈이다.

박 후보가 당시 제시한 지역별 세부 공약도 주목된다. 박 후보는 2008년 신도림동·구로동·가리봉동에 각각 ‘일등 교육 환경’ ‘도시광역개발’ ‘디지털문화센터 건설’을 약속했다. 이번 서울시장 선거에서도 박 후보는 서울 25개 구별 맞춤 공약을 준비하며 ‘디테일’을 강조했다.

2008년 박영선 후보의 공보물과 2000년 오세훈 후보의 공보물. 중앙선관위

오 후보는 2000년 강남을로 처음 정치권에 도전할 당시 시민운동을 강조했다. 오 후보는 공보물을 통해 자신을 “시민운동사를 바꾼 환경운동가, 정책과 대안을 제시해 온 젊은 지성”이라고 소개했다. 오 후보는 “합리적 시민운동을 개척한 환경·법률 전문가로 시대를 선도해왔다”고 자평했다.

그는 자신의 성과물로 입법청원을 도입해 대안적 시민운동을 개척했음을 앞세웠다. 그는 “1995년 자연공원 안에 숙박시설과 위락시설을 허용하겠다는 정부의 자연공원법 개정안에 분노해 밤을 새워 반대법안을 만들었다”며 “국회의원 20명의 동의서를 받아 환경운동연합의 이름으로 법을 발의해 결국 정부 법안을 백지화시켰다”고 했다.

또한 시민운동의 족쇄였던 선거법 87조의 위헌성에 대해 최초로 문제를 제기했다고 강조했다. 선거법 87조는 시민운동 단체의 선거활동을 금지하는 내용이다. 그는 “87조의 위헌성에 대해 최초로 문제를 제기한 사람이 오세훈이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고 말했다.

오 후보는 1993년 ‘일조권 소송 사건’으로 국내 최초로 헌법상의 환경권을 판례로 인정받았다는 점도 공보물에 실었다. 일조권 소송 사건은 인천의 한 아파트 주민들이 일조권이 침해됐다며 건 소송을 맡아 대기업을 상대로 승소를 이끌어 낸 사건이다. 오 후보는 이 사건을 계기로 방송출연을 하며 인지도를 쌓았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