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 재보궐선거가 임박하면서 문재인정부의 ‘마지막 내각’도 가시권에 들어왔다. 정세균 국무총리의 교체 가능성이 유력한 가운데, 재보선 결과에 따라 개각 폭이 상당히 커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1일 “정 총리와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일부 장관을 교체하는 조각 수준의 광폭 개각이 될 가능성이 크다”며 “피로도가 높은 장관들을 교체해 ‘새 술은 새 부대’에 담는 심기일전 개각이 될 것”이라고 했다.
정 총리는 재보선 이후 총리 사의와 대권 도전 의사를 밝힐 것으로 보인다. 정 총리는 이날 브리핑에서 거취를 묻는 질의에 “국무총리 인사권은 대통령께서 가지고 있다. 거취 문제는 당연히 대통령께 먼저 말씀을 드리고, 입장을 표명하는 것이 순리”라며 “아마 때가 되면 말씀드릴 기회가 있을 수도 있겠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정 총리가 이미 사의를 표명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지만, 정 총리 측은 “재보선 이후 문 대통령에게 별도로 공식 의사를 표명하는 자리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 대선 경선이 6월 말부터 시작되는 만큼, 물밑에서는 이원욱 김교흥 김영주 의원 등 정세균계 의원 20여명을 중심으로 대선 준비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정 총리 후임으로는 김부겸 전 의원, 박지원 국정원장, 김영주 전 무역협회장 등이 꾸준히 거론된다. 특히 김 전 회장은 노무현정부에서 청와대 경제정책수석, 산업자원부 장관 등을 지냈고, 문 대통령과도 인연이 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성 국무총리로 방향을 잡을 경우,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김영란 전 국민권익위원장 등이 후보로 거론된다.
경제라인에서는 청와대 정책실장·경제수석, 기획재정부 1·2차관 등이 모두 바뀐 만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교체로 ‘마지막 퍼즐’을 맞출 것이라는 관측이 크다. 후임으로는 은성수 금융위원장, 구윤철 국무조정실장, 정은보 한·미방위비분담금 협상대사, 고형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한민국대표부 대사 등이 하마평에 올랐다.
또 이미 사의를 밝힌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뿐 아니라 재임 기간이 2년 안팎이 된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 등도 교체 대상으로 꼽히고 있어 개각 폭은 훨씬 커질 수 있다.
문제는 개각의 쇄신 효과다. 여권 관계자는 “문 대통령 임기가 1년여밖에 남았고, 정권이 흔들리는 상황에서 새롭고 참신한 인물을 찾기가 쉽지 않다”며 “‘돌려막기 인사’가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라고 전했다. 최근 당청 지지율이 동반하락하는 상황에서 이전처럼 국회 인사청문회를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장관을 임명하는 것도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는 말이 나온다.
선거 결과에 따라 내각뿐 아니라 당정청 전반에 인적 쇄신 바람이 불 수도 있다는 말이 나온다. 여권에서는 당 대표 퇴임 이후에도 최근 활발히 목소리를 내고 있는 이해찬 전 대표, 문 대통령의 최측근인 양정철 전 민주연구원장 등이 모종의 역할을 할 것이라는 관측이 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