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 실패에 따른 민심 이반이 가속하면서 4·7재보궐선거 직후 개각 규모를 둘러싼 여권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정세균 국무총리가 조만간 거취에 대해 결단을 내릴 것으로 알려지면서 청와대가 후임 총리 인선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31일 전해졌다.
여권 관계자는 “정 총리가 4·7 재보선 이후 물러날 시점과 방식을 두고 고심 중이며, 조만간 결단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이 6월 말부터 대선 레이스에 돌입하는 만큼 유력 잠룡으로 꼽히는 정 총리의 여의도 복귀도 임박했다는 것이다. 이미 관가에서는 정 총리 사퇴가 기정사실화된 분위기다.
청와대도 정 총리 후임 인선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총리 후임은 문재인정부 세 번째 총리이자, 마지막 총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여권에서는 정권 말기 차갑게 얼어붙은 민심을 되돌리기 위해 국민통합에 초점을 맞춘 인사를 발탁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대구 출신인 김부겸 민주당 전 의원의 발탁 가능성이 거론되는 가운데, 민주당 내에서도 김 전 의원을 추천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여성 총리’ 카드로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의 이름도 거론되고 있다. 다만 유 부총리는 교육부총리로서 역할을 다 하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안정적인 관리형 총리로 박지원 국가정보원장의 이름도 거론되고 있지만, ‘돌려막기’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현실적인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정 총리 외에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교체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부동산 대란에 한국토지주택공사(LH) 임직원의 투기 의혹까지 겹치면서 경제부처 전반에 대한 불신이 팽배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청와대가 이미 김상조 정책실장을 비롯해 경제수석, 경제정책비서관을 모두 교체한 만큼 새로운 경제 사령탑을 찾을 것이란 얘기가 나온다. 이미 사퇴가 기정사실화된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과 2018년 9월부터 자리를 지켜 온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교체 대상으로 꼽히고 있어 향후 개각 폭은 훨씬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