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조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미·중 패권 경쟁 구도가 심화하는 데 대해 “미·중은 우리의 선택 대상은 결코 아니다”라며 “미국이나 중국도 우리에게 그러한 요구를 해 온 적도 없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31일 정부서울청사 외교부 브리핑실에서 내신 기자 브리핑을 갖고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우리의 기본 입장은 분명하다. 절대 모호하지 않다”며 “한·미 동맹의 굳건한 동맹 관계를 바탕으로 한·중 관계도 조화롭게 발전시켜 나가겠다는 것이 우리 정부의 확고한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강제징용·위안부 판결 등 과거사 문제로 갈등을 빚고 있는 일본과의 소통을 위해 모테기 도시미쓰(茂木敏充) 일본 외무상과 언제, 어떤 형태로든 만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그는 “개인적으로 외교장관 회담이 조기에 개최되기를 희망하고 있다”며 “일본 외무상과 어떤 형태로든 만날 용의가 있다. 한일 양자 회담이든, 한·미·일 안보실장 회의처럼 한미일 3국 외교장관 회담이든, 제가 가든지, 일본 외무상이 한국에 오든지, 제3국에서 만나든지 등 언제든지 만날 용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 2월 취임한 정 장관은 한국을 방문한 미국, 러시아 외교장관과 회담을 진행한 데 이어 다음 달 3일에는 중국을 방문해 한·중 외교장관 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하지만 모테기 외상과는 동일본 대지진 발생 10주기를 맞아 위로 서한 발송과 답신 형태의 소통이 이뤄졌을 뿐 아직 통화하지 못했다.
한·일 간 소통을 위해 이상렬 아시아태평양 국장은 이날 일본으로 출국했다. 이 국장은 일본에 도착해 후나코시 다케히로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과 만날 것으로 예상된다. 정 장관은 “신임 국장이기 때문에 일본의 상대 국장과 만나 고위 실무급 협의 채널을 재개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정 장관은 “최근 일본이 독도 영유권 주장의 강도를 계속 높여 나가고, 위안부 관련 역사적 사실도 왜곡·은폐하려는 행동이 늘어나고 있는 데에 대해서 아주 강하게 우려하고 있다”며 “한·일 현안 해결을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은 계속되고, 이러한 노력을 저해하는 왜곡과 도발은 중단해 줄 것을 다시 한번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